<프롤로그>

  인류의 발전은 기후 위기와 지속가능한 발전의 변곡점 위에 서 있습니다. 기후 변화는 이제 ‘기후위기(climate crisis)’로 다시 불릴 만큼 지구와 인류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생태계 파괴, 기후 변화와 그로 인한 재난 등은 녹색 전환의 필요성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습니다.

  인류의 생태계 파괴는 심각합니다. 인류가 농경과 목축을 위해 변형시킨 땅이 지구 육지 표면의 절반에 해당되며, 야생동물 개체 수는 최근 50년 간 1/3 수준으로 줄었습니다(UN, 2020). 2021년 현재 약 77억 명인 세계 인구가 2100년에는 110억 명 수준에서 절정에 이를 것이라는 예측을 통해(UN 경제사회국) 앞으로도 자원의 소모와 환경에 대한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기후 변화와 그로 인한 재난도 심각합니다. 지난 20년간 발생한 주요 자연재해는 7,348건, 직접적으로 피해를 입은 인구는 42억 명, 사망자는 123만 명으로 추산되며, 전 세계 피해액은 약 2조 9,700억 달러(UN DRR, 2020)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한편, 2019년 말부터 전 세계에 급속하게 확산된 COVID-19를 비롯해 신종플루, 메르스 등 최근에 발생한 전염성 질병은 인수공통 감염병이라는 특성이 있습니다. 인간이 점점 더 깊은 오지까지 개발하면서 생태계가 파괴되고 야생동물과 인간의 접촉이 늘어난 것이 새로운 질병의 직접적 원인입니다. 도시화, 세계화로 인수공통 감염병은 팬데믹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COVID-19를 포함해서 더욱 자주 등장하게 될 팬데믹은 이제 온 인류의 문제입니다.

  이제는 사람과 자연의 지속가능한 회복책(well-being)을 중심으로 국가 및 사회, 개인의 참여를 독려해, 기후 변화와 순환 경제 공급망에 대한 탄력성을 장기적으로 증진시켜야 합니다. 생물다양성 훼손을 중지하거나 역전시키고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한 정책을 통합하는 등 지속적인 행동 변화를 구축하는 혁신과 전환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더 나은 삶의 질을 제공하고 미래 세대의 필요를 지원할 수 있는 사회로의 전환이 가능합니다.

  특별히, 온실가스 배출 감축 등의 신기후 체제와 탄소 배출 제로를 목표로 한 탄소 중립 시대로의 녹색 전환이 필요합니다. 이는 지속가능한 인간 사회와 자연으로의 전환을 의미합니다. 지구 온난화를 1.5℃로 제한하고 기후 변화의 최악의 영향을 피하기 위해서는 매해 전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지금 수준보다 9% 더 감소되어야 합니다(WEF, 2021). 이를 위해서 전 세계는 성장과 환경오염의 문제를 분리하는 저탄소 경제로의 긴급한 전환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전 세계적인 공동 노력이 있어야 합니다.

  더불어, 지구 환경의 개선과 지속가능성을 위해서 기술의 전환도 필요합니다. 디지털 기술을 이용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산업을 저에너지 산업으로 전환하며, 일하는 방식을 기술의 혁신으로 전환하는 노력을 더 기울여야 합니다. 기술의 패러다임 전환으로 인해 기존 산업에서 감소한 노동력이 에너지 절약 산업으로 이전될 수 있도록 대책 방안이 필요합니다. 이것 또한 자연과 지속가능한 삶으로 가는 솔루션이 될 것입니다.

  구체적으로, 2021년은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파리협정의 이행이 시작되는 첫해였고, 특히 대한민국 서울에서는 ‘포용적 녹색 파트너십’을 주제로 P4G(Partnering for Green Growth and the Global Goals 2030, 녹색성장과 글로벌 목표 2030을 위한 연대) 정상회의가 개최되었습니다. 각국 정상, 국제기구 대표들은 ‘서울선언문’을 통해 기후 위기가 환경문제만이 아닌 경제, 사회, 안보, 인권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라는 것에 동의하고 심각한 기후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국제사회와 시민사회, 기업, 미래 세대가 함께 노력해 나갈 것을 약속했습니다.

  위와 같은 맥락 속에서, 이 책에서 필자는 전 세계적인 녹색 전환(‘지속가능한 인간과 자연, 탄소 중립 시대로의 전환’)의 역사적(time-series) 흐름과 글로벌 노력들을 톺아보면서, 더불어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실천적이고 경험적인 정책과 전략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필자는 팬데믹 시대 ‘더 나은 복원(build back better)’을 바라는 시민들의 열망, 긍정적인 전환을 이루기 위한 글로벌 노력과 대한민국 정부의 실천, 그리고 기업과 시민사회의 실행이 더욱 주목받고 있는 현재에, 이 책이 작지만 실제적인 기여(substantial contribution)를 할 수 있게 되길 소망합니다. 더불어 다양한 관련 분야의 연구자들, 공무원, 공공기관 관계자, 시민단체 활동가들에게도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이 책은 총 3장 8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장에서는 지속가능발전(SD)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글로벌 흐름과 맥락을 살펴봅니다. 1장은 2개 절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지속가능발전(SD)의 세 가지 축(pillars)의 의미와 상호 간의 인과적 관계를 지난 26년 간의 시계열 데이터의 패널 분석을 통해 제시합니다.

  2장에서는 다자간(multi-national) 관점에서 기후 변화 및 에너지 정책과 전략을 설명합니다. 2장은 4개 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첫째로 OECD 국가들을 사례로, 온실가스와 경제 성장의 글로벌 궤적(trajectory)을 퍼지셋(fuzzy-set) 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고, 둘째로 에너지 믹스(mix)와 에너지 전환(transition)의 시계열 분석의 의미와 결과를 보여줍니다. 셋째로 에너지 전환의 네 가지 미래 시나리오를 설정해서 시나리오별 미래상을 그려보고, 넷째로 녹색국가(green state)의 유형들(네 가지)을 비교 분석해서 제시합니다.

  3장에서는 지속가능발전 및 기후 변화 대응를 위한 거버넌스의 실천적 내용들을 설명합니다. 국내의 기후 변화 적응(adaptation)을 위한 거버넌스 메커니즘의 실제와 관련 대안을 밝히고, 더불어 글로벌 거버넌스를 통한 기후 변화 대응 노력의 사례를 지식/기술 이전 관점에서 분석해 제시합니다.

  마지막으로 이 책을 발간하는 데 도움을 주신 윤성사의 정재훈 대표님과 편집자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특별히 제 삶의 영원한 힘이 되는, 사랑하는 아내와 우리 딸 하은, 그리고 부모님과 가족들에게 고마운 마음을 전하고, 더불어 영원하신 하나님께 감사드립니다.

2021년 10월

허 태 욱

 

  Human progress stands at the inflection point of the climate crisi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Climate change is now threatening the earth and humanity enough to be called ‘climate crisis’ again. Ecosystem destruction, climate change and the resulting disasters strongly demand the need for a green transition.

  The destruction of human ecosystems is serious. Half of the Earth's land surface has been transformed by humans for agriculture and herding, and wildlife populations have shrunk by one-third in the last 50 years (UN, 2020). The prediction that the world population of about 7.7 billion as of 2021 will peak at the level of 11 billion by 2100 (UN Economic and Social Affairs Bureau) shows that resource consumption and the burden on the environment will inevitably increase in the future. Climate change and the resulting disasters are also serious. In the past 20 years, there have been 7,348 major natural disasters, with an estimated 4.2 billion people directly affected and 1.23 million death (UN Disaster Risk Reduction Officer, 2020).

  On the other hand, recent contag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which have rapidly spread around the world since the end of 2019, as well as H1N1 influenza and MER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zoonotic epidemics. The direct cause of new diseases is the destruction of ecosystems and increased human contact with wildlife as humans develop deeper and more remote areas. With urbanization and globalization, the likelihood of a zoonotic disease spreading as a pandemic has increased. Pandemics that will emerge more frequently, including COVID-19, are now a problem for all of humanity.

  It is now necessary to promote long-term resilience to climate change and circular economy supply chains by encouraging national, social and individual participation with a focus on sustainable well-being for people and nature. It requires innovation and transformation that builds lasting behavioral change, including integrating policies to stop or reverse biodiversity degradation and restore ecosystems. This enables a transition to a society that can provide a better quality of life and support the needs of future generations.

  In particular, a new climate regime such as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a green transition to a carbon-neutral era aiming at zero carbon emissions are necessary. This means a transition to a sustainable human society and nature. To limit global warming to 1.5°C and avoid the worst impacts of climate change, global carbon dioxide emissions must be reduced by 9% each year from current levels (WEF, 2021). To this end, the world needs an urgent transition to a low-carbon economy that separates the problems of growth and pollution, and there must be a concerted global effort to do so.

  In addition, technology transformation is also required for the improvement and sustainability of the global environment. More efforts must be made to utilize digital technology to increase energy efficiency, transform industries into low-energy industries, and transform the way we work into technological innovations. Countermeasures are needed so that the reduced labor force in the existing industry can be transferred to the energy-saving industry due to the paradigm shift in technology. This will also be a solution to nature and to a sustainable life.

  For example, Y2021 was the first year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aris Agreement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and in particular, the P4G (Partnering for Green Growth and the Global Goals 2030) summit was held in Seoul, Korea under the theme of ‘Inclusive Green Partnership’. Through the Seoul Declaration, the heads of countries and representative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gree that the climate crisis is not only an environmental problem but also a problem that affects the economy, society, security, and human rights; and promised th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civil society, and businesses, and future generations will work together in order to overcome the serious climate crisis.

  In the context of the above, in this book, the author takes a look at the historical flow and global efforts of the global green transition (‘transition towards a sustainable human, nature, and carbon-neutral era’) and provides practical and empirical policies and strategi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ogether. In a time when the aspiration of citizens for 'build back better' in the pandemic era, global efforts to achieve a positive transformation, the Korean government's practice, and the implementation of businesses and civil society are getting more attention, the author hope that this book will make a small but substantial contribution. In addition, I hope that it will be of some help to researchers, civil servants, and civic groups in various related fields.

  This book consists of a total of three chapters and eight sections,

  Chapter I describes the global flow and context of sustainable development(SD) an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DGs). Chapter I consists of two sections, and in particular, the meaning of the three pillars of sustainable development(SD) and their causal relationships are presented through the panel analysis of time series data for the past 26 years.

  Chapter II explains and analyzes the policies and strategies for climate change and energy in light of the multinational context. Chapter II is divided into the four sections. The first section analyzes, using OECD countries as an example, the global trajectory of greenhouse gas and economic growth through a fuzzy-set analysis method. The second section shows the meaning and results of time series analysis of energy mix and energy transition. The third section sets up four future scenarios of energy transition and draws a future image for each scenario. The fourth section compares and analyzes the types of green states (four types) and presents them.

  Chapter III examines the contexts of governanc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limate change, along with empirical results. It reveals the reality and relevant alternatives of the governance mechanism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S. Korea, and furthermore, it analyzes and presents examples of efforts to climate change response through the global governance, in terms of the knowledge and technology transfer.

  Finally, I would like to express my gratitude to the editors and CEO Jeong Jae-hoon of Yoonseongsa Publishing Company who helped me with the publication of this book. Furthermore, I want to express my special gratitude to my beloved wife, my daughter Ha-eun, and my parents and family, who are the eternal strength of my life.

October, 2021

Taewook Huh

 

 

Chapter I.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15

| Section 1 |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Climate Change_ 17

| Section 2 | Three Pillars of Sustainable Development_ 26

 

Chapter II.  Policy and Strategy for Climate Change and Energy 47

| Section 1 | Comparative Trajectory of Greenhouse Gas Emission and Economic Growth_ 49

| Section 2 | Time-Series of Energy Mix and Energy Transition_ 64

| Section 3 | Energy Transition: Anticipating the Futures Scenarios_ 80

| Section 4 | Towards a Green State: a Comparative Study_ 103

 

Chapter III.  Governanc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limate Change 119

| Section 1 | Multilateral Governance for Climate Change in S. Korea_ 121

| Section 2 | Global Cooperative Governance for Climate Change_ 139

 

<저자 소개>

 

허태욱, Taewook Huh

영국정부장학생(Chevening Scholarship)으로 브리스틀대학교(Univ. of Bristol)에서 정책학 박사 학위(Ph.D.)를 취득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부설 녹색기술센터 국제전략실 선임연구원,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연구부교수 등을 거쳐, 현재 경상국립대학교 행정학과 부교수(기술경영학과 겸무)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공저)로 『휴머노믹스: 사람중심정책, 대한민국을 말하다』, 『2030 카이스트 미래 경고』, 『REBUILD KOREA-정책제안 2017』, 『국제행정론』 등이 있으며, 해외 SSCI/SCIE 저널 등에 기후변화/에너지 정책(거버넌스), 디지털 사회혁신, ESG 경영, 국제개발협력(ODA)등의 연구 주제로 다양한 논문을 게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