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처음 사회복지와 관련된 책을 쓰려고 할 때 망설여졌던 것이 사실이다. 사회복지사 자격을 취득하고, 꾸준히 논문 발표를 통해 연구하면서 강의를 해왔지만 과연 사회복지학이라는 학문체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확신이 들지 않아서였다. 더욱이 이미 나와 있는 좋은 책들이 적지 않은 상황에서 차별된 지식과 정보를 전달해야 한다는 부담감도 크게 작용했다. 그래서 책을 써보라는 권유를 받은 것이 오래전이지만 선뜻 원고를 작성할 수 없어 훌쩍 시간을 흘려보내게 됐다.

  무위의 시간을 보내던 어느 날, 책의 첫 번째 글자를 쓰게끔 나를 움직인 것은 사회복지사 1급 시험을 준비하던 아내의 불평 한 마디였다. 공부를 위해 보는 책들이 여러 권인데 전문 이론서는 너무 복잡해서 집중하기 어렵고, 전용 수험서는 지나치게 함축적이어서 사회복지의 맥락을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아내의 말을 들은 후, 여명이 찾아오듯 써야 할 새로운 사회복지 서적의 방향성이 뚜렷해졌다. 간결하고 가독성 좋게 함축적으로 사회복지 전문지식을 전달하면서 책 한 권만으로도 핵심 내용을 공부할 수 있는 실용적인 책을 만들어 보기로 결심한 것이다.

  그러한 마음으로 구성한 이 책 『사회복지의 이해와 실천』은 사회복지에 관련된 모든 분야를 큰 맥락 내에서 다루며, 그동안 실시된 사회복지사 1급 시험의 출제 경향을 종합, 분석해 전반부를 구성했고, 후반부에서는 사회복지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실천과 실천 기술에 대해 집중적으로 할애했다. 이 책이 혼자 효율적으로 학업 성과를 만들어 내는 데 초점을 맞췄기 때문에 좀 더 심층적인 내용에 대한 학습은 당연히 전문 각론을 참조하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하지만워크북으로서의 가치는 그동안 나왔던 그 어떤 동류의 책보다 다채롭게 구성했다고 자신할 수 있다.

  부디 이 책의 활용으로 정진에 어려움을 겪는 예비 학자들의 고민이 조금이나마 해소되길 진심으로 바라며, 이 책이 나오기까지 격려를 아끼지 않고 도움을 주신 윤성사 정재훈 대표께 감사의 마음을 표한다. 함께 나의 버팀목이자 지배적 원동력인 어머니, 아내, 아이들에게 무한한 사랑을 표하며, 특히 어려운 환경 속에서 공부에 전념하는 큰아들 의환이에게 이 책을 바친다.

2021년 12월

이재무

 

<차례>

제1장 인간의 삶과 욕구, 그리고 사회복지· ······························· 17

1. 인간의 생활 주기와 발달 특성 / 17

 1) 인간의 생활 주기와 발달 특성의 개념 및 관심을 갖는 이유 / 17

 2) 인간의 생활 주기별 발달 특성 / 18

 3) 인생 생활 주기와 각종 문제·위험을 해결하기 위한 조치 / 25

2. 인간의 욕구 / 25

 1) 욕구의 개념 / 25

 2) 욕구의 유형 / 26

 3) 문제와 위험의 개념 / 28

 

제2장 사회복지에 대한 기본 이해· ······································ 31

1. 사회복지의 의의 / 31

 1) 사회복지의 개념 / 31

 2) 사회복지 관련 분야와 영역 / 34

 3) 사회복지 관련 이념과 사상 / 36

2. 사회복지의 가치와 윤리 / 37

 1) 사회복지의 일반적 가치 / 37

 2) 사회복지의 실천적 가치 및 윤리 / 39

 

제3장 사회복지의 발달 과정과 역사· ···································· 41

1. 영국의 사회복지 발달 과정 / 41

 1) 사회복지 역사에 대해 이해해야 하는 이유 / 41

 2) 사회복지의 발달 동향 / 42

 3) 구빈법 이전 시대 / 42

 4) 구빈법 시대 / 43

 5) 사회보장제도 시대 / 47

2. 미국의 사회복지 발달 과정 / 49

 1) 미국의 사회복지 / 49

 2) 19세기 사회복지 / 49

 3) 20세기 사회복지 / 50

3. 한국의 사회복지 발달 과정 / 50

 1) 고대국가시대 / 50

 2) 조선시대 / 51

 3) 일제강점기 및 미군정시대, 군사쿠데타 이전·이후 정부 / 52

 4) 민주화정부시대 / 52

 

제4장 사회복지 실천을 위한 기술· ······································ 55

1. 사회복지 실천의 개념과 과정 / 55

 1) 사회복지 실천의 정의와 특성 / 55

 2) 사회복지 실천 과정 / 57

 3) 사회복지 실천의 관점과 개입이론 모형 / 59

2. 사회복지 실천기술의 이해 / 61

 1) 사회복지 실천기술의 개념 / 61

 2) 사회복지 실천기술의 유형 / 62

 3) 사례관리의 이해 / 67

 

제5장 사회복지 관련 법 및 정책· ······································· 71

1. 사회복지법제의 이해 / 71

 1) 사회복지법의 기초 / 71

 2) 한국 사회복지법의 구조 / 74

2. 사회복지정책의 의의 / 78

 1) 사회복지정책의 개념 / 78

 2) 사회복지정책 관련 이론 / 81

 3) 사회복지정책의 영역 / 83

 

제6장 사회복지조직의 관리· ··········································· 86

1. 사회복지행정의 기초 / 86

 1) 사회복지행정의 개념 / 86

 2) 사회복지행정의 조직이론 / 88

2. 사회복지행정의 관리 분야 / 90

 1) 사회복지행정의 전통적 관리 영역 / 90

 2) 사회복지행정의 새로운 관리 영역 / 101

 

제7장 사회복지와 과학적 조사········································ 106

1. 조사의 이해 / 106

 1) 조사의 개념 / 106

 2) 사회복지조사의 의의 / 109

 3) 측정, 타당도와 신뢰도, 척도 / 109

2. 이론 및 조사 설계의 이해 / 112

 1) 이론 / 112

 2) 단일사례조사 설계 / 114

 3) 실험조사 설계 / 115

 4) 설문조사 설계 / 116

 

제8장 빈곤과 사회보장: 공공부조, 사회보험· ···························· 118

1. 빈곤 및 사회보장의 의미 / 118

 1) 빈곤 / 118

 2) 사회보장 / 119

2. 공공부조 / 121

 1) 공공부조의 의미 / 121

 2) 공공부조의 유형 / 122

 3) 공공부조의 쟁점과 과제 / 125

3. 사회보험 / 127

 1) 사회보험의 의미 / 127

 2) 사회보험의 유형 / 128

 

제9장 사회복지서비스 : 아동, 청소년, 학교 사회복지······················ 132

1. 아동 복지 / 132

 1) 아동 및 아동 복지에 대한 이해 / 132

 2) 아동 복지 정책 / 135

2. 청소년 복지 / 139

 1) 청소년 및 청소년 복지에 대한 이해 / 139

 2) 청소년 복지 정책 / 140

3. 학교 사회복지 / 142

 1) 학교 사회복지의 개념 / 142

 2) 학교 사회복지의 기능 및 구성 요소, 원칙 / 143

 3) 학교 사회복지사 / 144

 

제10장 사회복지서비스 : 여성, 가족···································· 145

1. 여성 복지 / 145

 1) 여성 복지의 등장 배경 : 여성의 삶과 사회문제 해결 요구 / 145

 2) 여성 복지에 대한 이해 / 147

 3) 여성 복지 정책 / 150

2. 가족 복지 / 152

 1) 가족 복지에 대한 이해 / 152

 2) 가족 복지 정책 / 154

 

제11장 사회복지서비스 : 노인, 장애인, 기타······························ 159

1. 노인 복지 / 159

 1) 노인 복지에 대한 이해 / 159

 2) 노인 복지 정책 / 162

2. 장애인 복지 / 164

 1) 장애인 복지에 대한 이해 / 164

 2) 장애인 복지 정책 / 166

3. 기타 / 169

 1) 의료 사회복지 / 169

 2) 정신건강 사회복지 / 170

 3) 교정복지 / 170

 

제12장 지역사회복지, 사회복지사, 복지국가······························ 172

1. 지역사회복지 / 172

 1) 지역사회복지의 개념 / 172

 2) 지역사회복지 실천 모형 / 176

2. 사회복지사 / 179

 1) 기능에 따른 사회복지사의 역할 / 179

 2) 사회복지사의 원칙 / 181

3. 복지국가 / 183

 1) 복지국가의 의미 / 183

 2) 한국 사회복지의 현황과 발전적 담론 / 184

 

제13장 사회복지 실천의 기초· ········································· 187

1. 사회복지 실천의 이론적 의미 / 187

 1) 사회복지 실천의 정의와 목적 / 187

 2) 사회복지 실천의 이념과 철학 / 189

2. 사회복지 실천의 전문가 / 190

 1) 전문직에 대한 이해 / 190

 2) 사회복지 실천의 전문적 기반 및 정체성 / 192

 

제14장 사회복지 실천의 발달 과정과 역사································ 196

1. 외국의 사회복지 실천 발달 과정 / 196

 1) 전문적 사회복지 실천의 태동기 / 196

 2) 사회복지 실천 전문직 확립기 / 199

 3) 사회복지 실천의 정착기 / 200

 4) 사회복지 실천의 변혁기 / 201

 5) 최근의 사회복지 실천 / 202

2. 한국의 사회복지 실천 발달 과정 / 203

 1) 1950년대 / 203

 2) 1970년대 / 204

 3) 1980년대 / 204

 4) 1990년대 / 205

 

제15장 사회복지 실천의 가치와 윤리· ··································· 207

1. 사회복지 현장의 가치와 윤리 / 207

 1) 가치와 윤리의 의미 / 207

 2) 한국 고유의 사회복지 실천 가치 / 209

 3) 사회복지 실천 현장의 윤리 / 210

2. 사회복지 현장의 윤리 원칙과 윤리적 갈등 / 211

 1) 사회복지사의 실천 원칙 / 211

 2) 윤리적 갈등과 윤리적 의사결정 / 213

 

제16장 사회복지 실천의 관점· ········································· 217

1. 사회체계 및 생태체계적 관점 / 217

 1) 환경 속의 인간 관점 / 217

 2) 일반 체계 관점 / 219

 3) 생태체계적 관점 / 221

2. 강점 관점, 사회구성주의적 관점 / 223

 1) 강점 관점 / 223

 2) 사회구성주의 관점 / 226

3. 통합적 관점 / 227

 1) 통합적 관점의 의의 / 227

 2) 통합적 관점의 바탕이 된 이론 / 228

 3) 사회복지 실천에 대한 통합적 관점의 적용 / 230

4. 성인지 관점, 다문화 관점 / 232

 1) 성인지 관점 / 232

 2) 다문화 관점 / 234

 

제17장 사회복지 실천의 관계 및 면접··································· 237

1. 관계의 이해 / 237

 1) 관계의 의미와 요소 / 237

 2) 사회복지 실천에서 관계의 원칙 / 239

 3) 관계 맺기 / 244

2. 면접의 이해 / 246

 1) 면접의 개념과 특징 / 246

 2) 사회복지 실천에서 면접의 기술 / 251

 3) 면접의 기록 / 255

 

제18장 사회복지 실천의 과정· ········································· 258

1. 초기 단계 / 258

 1) 사회복지 실천 과정의 개념 / 258

 2) 초기 단계 : 접수 / 259

 3) 초기 단계 : 자료 수집 / 262

 4) 초기 단계 : 사정 / 264

 5) 초기 단계 : 계획 / 272

2. 개입 단계 / 275

 1) 개입의 이해 / 275

 2) 개인 수준의 개입(직접적 개입) / 276

 3) 집단 수준의 개입(직접적 개입) / 279

 4) 가족 수준의 개입(직접적 개입) / 280

 5) 간접적 개입 / 285

3. 종결 단계 / 287

 1) 평가 / 287

 2) 종결 / 292

 

제19장 사회복지 실천 현장, 사례관리··································· 297

1. 사회복지 실천 현장 / 297

 1) 사회복지 실천 현장의 개념 / 297

 2) 한국의 사회복지 실천 현장 / 299

2. 사례관리 / 309

 1) 사례관리의 개념과 의의 / 309

 2) 사례관리의 고유 특징 / 312

 

제20장 사회복지 실천기술 : 개인 및 집단 대상· ··························· 315

1. 개인 대상 사회복지 실천 / 315

 1) 개인 대상 사회복지 실천 요약 / 315

 2) 개인 대상 사회복지 실천기술 / 317

2. 집단 대상 사회복지 실천 / 319

 1) 집단의 이해 / 319

 2) 집단 대상 사회복지 실천 요약 / 321

 3) 집단 대상 사회복지 실천기술 / 322

 

제21장 사회복지 실천기술 : 가족 및 지역사회 대상· ······················· 327

1. 가족 대상 사회복지 실천 / 327

 1) 가족의 이해 / 327

 2) 가족 대상 사회복지 실천기술 / 330

2. 지역사회 대상 사회복지 실천 / 333

 1)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 / 333

 2) 지역사회 대상 사회복지 실천 요약 / 334

 3) 지역사회 대상 사회복지 실천기술 / 335

 

<저자 소개>

이재무

•단국대학교 행정학 박사

•국가균형발전위원회 교육, 복지전문위원

•단국대학교 행정학과 겸임교수

• 정책네트워크 내 핵심 정부행위자의 구조성분과 정책효율성 간 관계에 대한 연구(2014, 한국정책학회보)

• 한국 개혁정책의 도입 과정 분석을 통한 복합적 정책변동모형 검증(2016, 서울대 행정논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