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이 책은 미완성품이다. 공공기관 조직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해 보겠다는 생각을 가진 지는 꽤 오래되었고, 이 책은 그 분석으로 찾아진 경험적 증거를 공개하는 일련의 프로젝트 중 하나이다. 하지만, 애초에 구상하였던 책의 모습과는 꽤 차이가 나게 되었다. 그럼에도 여러 이유로 인하여 일단 지금 이 모습으로 첫 매듭을 지으려 한다. 아쉬운 마음이 크지만 미래를 기약해 본다.

  외국에서 박사논문을 준비하던 시절, 해 보고 싶은 연구는 많았지만 한 가지 걸림돌이 번번이 좌절을 주었다.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를 구할 방법이 없었다. 단 하나의 문제였지만 치명적 제약이었다. 가난한 유학생 처지에 비싼 데이터를 구매할 수도 없었고, 누군가 만들어서 공개한 데이터는 남의 옷을 입은 듯 적합하지 않았다. 유일한 해결책은 ‘맨땅에 헤딩’하는 식으로 몸으로 부딪히고 발로 뛰어서 원하는 – 혹은 원하는 것에 가장 가까운 - 데이터를 발굴하는 것이었다.

  그런 식으로 간당간당하게 박사논문을 쓰고 귀국해서 운좋게 교수가 되었으나 데이터 문제는 쉽게 사라지지 않았다. 하고 싶은 연구에 필요한 좋은 데이터를 찾는 일의 어려움은 교수가 되었다고 하여도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았다. 논문 한 편에 투입할 수 있는 시간은 학생 시절보다 더 줄었기 때문에 함량 미달의 데이터를 분석한 마음에 차지 않는 연구 결과를 내보내야 하는 일이 잦아졌다.

  그러던 어느 날 행정대학원 원장으로 재직 중이셨던 김병섭 교수께서 가뭄의 단비 같은 도움의 손길을 주셨다. 우리나라의 대표적 공공조직들을 대상으로 10년 이상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활로를 찾아 주신 것이다. 그 결과, 이렇게 확보된 자료를 활용한 수십 편의 연구논문이 국내는 물론 외국의 저명한 학술지에 게재되었고, 이 자료에 근거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제자들도 여럿 나왔다. 이 책은 이렇게 확보된 자료 가운데 일부인 우리나라 공공기관 조직 특성 종단 데이터를 조직 성과를 중심으로 주된 경험적 패턴을 추려서 간략하게 분석해 본 것이다.

  이런 이유로 이 책이 세상에 나오게 된 가장 큰 기여자는 김병섭 교수이시다. 또 학문적 여정에서 큰 빚을 진 많은 은사, 선학, 동학이 계시지만 그분들께는 별도의 자리를 통하여 상세하게 감사드릴 생각이다. 더불어 이 책에서 사용한 데이터를 만드는 과정에서 오랜 기간 소중한 시간과 노력을 쏟아 준 조교들에게 고마운 마음을 전한다. 그들 모두가 공저자로 이름이 올라야 하는데 다른 기회가 또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정재훈 대표를 비롯하여 훌륭한 솜씨로 이 책을 빚어 낸 윤성사 식구들에게도 감사드린다. 끝으로, 저자들의 가족이 아니었으면 이 모든 일은 가능하지 않았을 것이다. 언제나 가족은 일보다 중요하다, 학문이 되었든 무엇이 되었든. 고마운 마음을 말로는 표현할 수 없다.

2022년 11월

관악캠퍼스에서

전영한·권보경

 

<차례>

제1장 서론

 

제2장 공공기관의 조직환경

제1절 정부환경 

 1. 정부의 지도 및 감독 

 2. 정부의 업무 협의 및 승인 

 3. 정부의 법적 규제 

 4. 공공기관의 조직 자율성 

  1) 사업 자율성 

  2) 행정 자율성 

제2절 시장환경 

 1. 시장 경쟁 

 2. 시장 수요 변화 

 3. 시장실패 

  1) 정보 불완전성 

  2) 비배타성 

  3) 비경합성 

  4) 외부성 

제3절 기타 조직환경 

 1. 사회적 주목도 

  1) 대중적 주목도 

  2) 언론 주목도 

 2. 환경적 다양성 

 3. 업무환경 난이도 

 4. 환경적 역동성 

 5. 환경적 불확실성 

 6. 제도적 압력 

  1) 강제적 압력 

  2) 규범적 압력 

  3) 모방적 압력 

 

제3장 공공기관의 조직 목표와 전략

제1절 조직 목표 

 1. 목표모호성 

 2. 가치모호성 

 3. 가치 규모 

  1) 개별 고객 가치 규모 

  2) 전체 국민 가치 규모 

 4. 성과지표의 타당성 

 5. 목표 갈등 

제2절 조직전략 

 1. 선도형 전략 

 2. 방어형 전략 

 3. 반응형 전략 

 

제4장 공공기관의 조직구조

제1절 관료제적 구조 

 1. 위계적 복잡성 

 2. 집권화 

 3. 공식화 

 4. 번문욕례 

제2절 조직 기술 

 1. 과업 표준화 

 2. 과업 관례화 

제3절 조직 개편 

 1. 조직 개편 규모 

 2. 조직 개편 동기 

 

제5장 공공기관의 조직 행태

제1절 직원몰입 

제2절 조직 헌신 

제3절 직무 만족 

제4절 역할모호성 

제5절 조직시민행동 

제6절 이직 의도 

제6장 공공기관의 조직관리

제1절 인력관리 

 1. 인력 (불)안정성 

 2. 성 다양성 

 3. 근무지 다양성 

 4. 직종 구성 

  1) 관리직 비율 

  2) 전문직 비율 

 5. 인적자원 개발 

  1) 인적자원 개발 노력: 교육훈련 

  2) 인적자원 개발 방식: 고성과 인사관리 기법 

제2절 최고위관리 

 1. 외부관리 

 2. 내부관리 

 3. 내부관리-외부관리 비중 배분 

 4. 기관장의 관리적 재량 

 5. 기관장의 관리 범위 

 6. 이사회 효과성 

 

| 부록 | 

 

<저자 소개>

전영한은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및 행정대학원 졸업 후 미국 조지아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조지아대학교 정치학과에서 강사로, 중앙대학교 및 연세대학교 행정학과에서 조교수로 근무하였다. 연구 및 교육 관심 분야는 공공조직의 관리 및 설계, 조직정책 등이다.

 

권보경은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한국행정연구소 객원연구원이다.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연구 관심 분야는 공공조직의 관리, 제도주의, 고등교육정책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