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현대 사회는 조직사회라 말할 수 있으리만큼 여러 분야에 걸쳐 다양한 조직이 수없이 존재한다. 조직이란 특정한 목적을 추구하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구성된 사람들의 집합체로서 외부 환경과 여러 가지 상호 작용을 하는 사회적 단위이다. 그리고 대부분의 사람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조직에 소속되어 있다.
  현재 우리 사회는 도시의 인구집중화 현상, 날로 늘어만 가는 고층 건축물, 지하 생활공간의 확대, 가스·위험물 시설 및 사용량의 증가, 차량 증가, 불특정 다수가 운집하는 백화점이나 극장의 증가 등 생활환경의 변화로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양태의 위험 요소의 증대로 인하여 소방수요가 급증하는 등 소방에 대한 기대와 역할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이처럼 소방의 역할과 소방조직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방환경의 양적·질적 변화이다. 도시화·지하화·고층화, 고령화 등 사회 및 인구 구조의 변화는 소방조직의 효율화와 합리화를 요구하고 있다. 둘째, 소방공무원 수의 증가(2008년 31,918명, 2017년 48,042명), 119 구조 활동 출동 건수(2008년 275,662건, 2017년 805,194건)와 119 구급 활동 출동 건수(2008년 1,809,176건, 2017년 2,788,101건)의 증대로 소방 인력 및 조직관리의 필요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셋째, 소방 역량 제고의 필요성이다. 최근 제천 화재와 밀양 세종병원화재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유능한 현장지휘관을 포함한 소방조직의 효율적 관리가 어느 때보다도 절실하다.
  소방조직론은 행정에서 이루어지는 조직 현상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따라서 소방조직론을 공부한다는 것은 공공성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조직 현상에 관한 지식, 가치, 기술을 학습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소방조직론을 연구하고 공부하는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 첫째, 소방조직론을 공부하는 일차적인 목적은 좋은 정부와 효율적인 소방조직을 구현하여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이다. 둘째, 소방조직론을 공부하는 중요한 동기 중 하나는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이다. 셋째, 소방조직론을 공부하는 또 다른 이유는 소방관이라는 직업인으로서 소방조직에 대한 이해와 학습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이와 같은 소방조직의 효율적 관리의 필요성과 소방조직론 학습의 필요성에 따라 집필되었다.
  『소방조직론』은 크게 5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편은 이 책의 도입 부분으로서 현대 사회와 조직, 소방조직의 의의와 특성, 소방조직의 중요성, 조직이론의 발달 등 ‘소방조직 이해하기’에대하여 다루고 있다. 제2편은 소방조직의 발전 과정, 한국의 소방조직 체계 등 ‘소방조직의 발전과 체계’로 구성하였다. 제3편은 소방조직 관리이론, 소방조직에서의 인간행동이론, 소방조직의 구조와 설계, 소방조직의 유형 등 ‘소방조직의 구조와 설계’를 설명하였다. 제4편에서는 미국과 일본의 ‘소방조직’에 대하여 논의하고 있다. 제5편에서는 국가소방과 자치소방, 재난관리와 소방, 미래의 소방조직 등 ‘미래의 소방조직’을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의 집필과 출간에 그 필요성을 공감하고 함께해 준 저자들과 윤성사 정재훈 대표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또한 꼼꼼하게 교정과 편집을 해 준 모든 분에게도 이 자리를 빌려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2019년 6월
저자 씀

<차례>
머리말 4

1편 소방조직 이해하기 13

1장 소방조직의 의의와 중요성 15
  제1절 조직의 의의 15
    1. 조직의 개념 16
    2. 조직의 유형 19
    3. 조직의 일반적 특성 22
  제2절 소방조직의 개념과 특성 26
    1. 소방 및 소방조직의 의의 26
    2. 소방 조직의 특성 28
    3. 소방조직 연구의 중요성과 학습의 필요성 30

2장 조직이론의 발달 35
  제1절 조직이론의 발달 과정 35
  제2절 고전적 조직이론 37
    1. 과학적 관리론 38
    2. 행정관리론 40
    3. 관료제이론 41
  제3절 신고전적 조직이론 44
    1. 인간관계론 44
    2. 환경유관론 46
  제4절 현대적 조직이론 47
    1. 행태과학 48
    2. 상황이론 50
    3. 관리과학 53
    4. 체제이론 54
  제5절 미래 조직이론 56
    1. 혼돈이론 56
    2. 학습조직 58
    3. 네트워크 조직 60

2편 소방조직의 발전과 체계 65
 
3장 우리나라 소방조직의 발전 과정 67
  제1절 우리나라 소방조직의 역사 67
    1. 삼국시대 68
    2. 통일신라시대 69
    3. 고려시대 69
    4. 조선시대 70
    5. 일제시대 71
    6. 미군정시대(1945~1948년) 72
    7. 정부 수립 이후(1948~1970년) 73
    8. 정부 수립 이후 발전기(1970~1992년)  73
    9. 광역자치시대(1992~2004년) 74
  제2절 최근의 소방조직 변천 과정  75
    1. 소방방재청(2004~2014년) 75
    2. 국민안전처 중앙소방본부(2014년~2017년) 76
    3. 소방청(2017년~현재) 76
 
4장 한국의 소방조직 체계 79
  제1절 한국의 소방조직 체계  79
  제2절 국가소방행정조직 82
    1. 소방청 82
    2. 중앙소방학교 86
    3. 중앙119구조본부 87
  제3절 지방소방행정조직 90
    1. 소방본부 92
    2. 소방서 97

3편 소방조직의 구조와 설계 105
 
5장 소방조직에서의 인간행동이론 107
  제1절 소방조직에서의 인간 행동 이해 107
  제2절 동기부여이론 110
    1. 동기부여의 개념 110
    2. 내용이론 111
    3. 과정이론 116
  제3절 리더십이론 118
    1. 리더십의 개념 118
    2. 특성이론 119
    3. 행태이론 120
    4. 상황이론 123
    5. 현대적 리더십이론 126
  제4절 의사소통이론 129
    1. 의사소통의 개념 129
    2. 의사소통의 기능과 의사소통 과정 및 종류 129
    3. 의사소통의 장애 요인과 극복 방안 130
  제5절 갈등관리이론 132
    1. 갈등의 개념 132
    2. 갈등에 대한 견해와 갈등의 기능 132
    3. 갈등의 수준 133
    4. 갈등의 처리 및 해소 방법 134
  제6절 조직문화이론  135
    1. 조직문화의 개념 135
    2. 조직문화의 특징과 기능 136
    3. 조직문화의 유형 137
  제7절 소방조직에서의 인간 행동  138
    1. 소방조직의 동기부여 138
    2. 소방조직의 리더십 140
    3. 소방조직의 의사소통 140
    4. 소방조직의 갈등관리 142
    5. 소방조직문화 144
 
 6장 소방조직 관리이론  146
  제1절 소방조직 관리의 이해  146
  제2절 조직이론의 발전사 및 조직의 유형  149
      1. 조직이론의 발전사 149
      2. 조직의 유형과 구조 151
  제3절 조직구조의 기본 변수 : 복잡성, 공식성, 집권화 153
      1. 조직구조의 기본 변수 153
      2. 복잡성(분화) 153
      3. 공식성 154
      4. 분권화 및 집권화 155
  제4절 조직구조의 상황 변수 : 규모, 기술, 환경 156
      1. 조직구조와 규모 156
      2. 조직구조와 기술 156
      3. 조직구조와 환경 157
  제5절 관료제와 애드호크라시 158
      1. 관료제 158
      2. 애드호크라시 159
  제6절 소방조직의 관리  161
 
4편 해외 소방조직 165

  7장 미국의 소방조직  167
  제1절 미국의 재난관리 체계 167
  제2절 미국의 중앙소방조직  169
      1. 미국 소방청의 조직  169
      2. 미국 소방청의 탄생과 역사 172
      3. 미국 소방청의 주요 프로그램 174
  제3절 미국의 지방소방조직  177
      1. 미국의 소방관 177
      2. 미국의 지역 소방서  180
      3. 미국 지역 소방서의 운영  181
  제4절 미국 소방의 미래  183
 
8장 일본의 소방조직  189
  제1절 일본의 소방조직  190
      1. 국가소방행정기관  190
      2. 지방소방행정기관  193
      3. 시정촌 소방의 광역화  204
      4. 각 소방기관 상호 간의 관계 등  206
  제2절 구급 체제  209
      1. 구급 업무 실태 209
      2. 시정촌의 구급 업무  210
      3. 구급대 및 대원 현황  211
      4. 구급구명사 운영 실태  211
      5. 구급자동차 현황 212
    제3절 구조 체제  212
      1. 구조 활동의 실시 현황  212
      2. 구조 활동 체제 214
    제4절 항공소방 방재 체제  215
      1. 항공소방 방재 체제 현황  215
      2. 항공소방 헬리콥터 운용 현황  216
      3. 조종사 양성·확보 대책 217
    제5절 광역소방응원과 긴급소방원조대  217
      1. 소방의 광역응원 체제 218
      2. 긴급소방원조대  220
    제6절 국가와 지방공공단체의 방재 체제  224
      1. 국가와 지방의 방재조직 224
      2. 「재해대책기본법」의 개정  225
      3. 소방청의 방재 체제 및 대책 226
    제7절 소방재정  227
      1. 소방청 예산액 227
      2. 도도부현의 방재비 228
      3. 시정촌 소방비 229
      4. 소방 예산의 재원 230
 
5편 미래의 소방조직  233

9장 국가소방과 자치소방  235
    제1절 소방환경의 변화 및 국가소방과 자치소방의 개념  235
      1. 소방환경의 변화 235
      2. 국가소방과 자치소방의 개념 236
    제2절 우리나라 소방조직 체계 연혁  237
    제3절 광역소방 체제와 기초소방 체제의 장·단점  241
      1. 시·도 광역소방 체제 241
      2. 시·군·구 기초소방 체제  242
    제4절 소방사무  244
      1. 국가사무와 자치사무 현황 244
      2. 소방사무의 변화 247
      3. 외국의 소방사무 수행 주체 249
    제5절 해외 소방조직 체계  250
      1. 미국  250
      2. 일본  251
      3. 영국  253
      4. 독일  254
 
10장 재난관리와 소방  257
    제1절 개요  257
      1. 소방의 목적  258
      2. 소방 업무의 특성  259
    제2절 소방 연혁 및 기본 현황  261
      1. 소방의 연혁 261
      2. 기본 현황  263
    제3절 재난관리와 소방조직 체계  264
      1. 중앙정부  264
      2. 지방자치단체 267
      3. 의용소방대 269
      4. 의무소방대  270
    제4절 재난관리와 소방 활동  270
      1. 소방 업무의 확대  270
      2. 재난관리에서 소방의 역할  275
    제5절 긴급구조 체계  274
      1. 긴급구조통제단  274
      2. 긴급구조지휘대의 구성과 운영  281
   
11장 미래의 소방조직  283
    제1절 소방행정 개혁의 배경  283
        1. 소방행정의 개념 및 특성  284
        2. 소방행정 개혁의 요인 및 필요성  284
        3. 국내외 재난 여건 및 재난 발생 원인  286
        4. 미래 재난환경의 변화 대응  290
    제2절 소방조직의 현황 분석  291
        1. 소방조직의 의미 291
        2. 소방조직의 기능 변화  293
        3. 소방조직의 특성  293
    제3절 미래 소방조직의 방향  295
        1. 지식정보사회의 조직구조의 특성  295
        2. 소방조직의 개선 요인  301
        3. 미래 소방조직의 추진 방향 및 기대 효과  304
 
  참고문헌  309
  찾아보기  325
  저자소개  333

<저자소개>

양기근(梁奇根)
•경희대학교 행정학 박사(2004.8)
•현 원광대학교 소방행정학과 교수
•『소방학개론』(2018, 윤성사)
•『소방행정학개론』( 2016, 대영문화사)
•『재난관리론』(2016, 대영문화사)
•재난관리의 조직학습 사례연구(2004, 『한국행정학보』)

이주호(李朱祜)
•충북대학교 행정학 박사(2010.8)
•현 세한대학교 소방행정학과 조교수
•전 선문대학교 연구교수
•『소방행정학개론』(2016, 대영문화사)
•『재난관리론』(2016, 대영문화사)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사회기반시설(SOC) 보호체계 발전 방안(2016, 『Crisisonomy』)

송윤석(宋潤錫)
•한국외국어대학교 행정학 박사(2009.2)
•현 서정대학교 소방안전관리과 교수
•현 경기도 양주시 건축위원회 심의위원
•『소방행정학개론』(2016, 대영문화사)
•『재난관리론』(2016, 대영문화사)

최낙범(崔樂範)
•경찰대학 행정학과 졸업
•서울대 행정대학원 행정학 전공
•현 서원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
•조직공정성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2013, 『한국행정학보』)
•소득불평등과 범죄 간의 관계에 대한 탐색(2015, 『행정논총』)

변성수(卞成洙)
•충북대학교 행정학 박사(2010.2)
•현 충청북도 재난안전연구센터 전문위원
•전 충북대학교 국가위기관리연소 전문연구원
•전 연세대학교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전문연구원
•『재해구호복지론』(2012, 대영문화사)
•소방취약지역의 소방서비스 향상을 위한 의용소방대 역량 강화(2018, 『한국융합과학회지』)

류상일(柳賞溢)
•충북대학교 행정학 박사(2007.8)
•현 동의대학교 소방방재행정학과 교수
•세한대학교 소방행정학과 교수 역임
•『소방행정학개론』(2016, 대영문화사)
•『재난관리론』(2016, 대영문화사)
•네트워크 관점에서 지방정부 재난대응 과정 분석(2007, 『한국행정학보』)

최희천(崔烯天)
•서울시립대학교 행정학(재난정책) 박사(2010.2)
•현 사회적참사특별조사위원회 피해지원국장
•서울시립대학교 소방방재학과 책임교수 역임
•열린사이버대학교 소방행정학과장 역임
•재난 재건의 이슈들을 통해 본 한국과 중국 사회의 맥락적 차이 분석(2017, 『Crisisonomy』) 등

전병순(田炳淳)
•일본 교토대학교 법학석사(1998.2)
•원광대학교 소방학 박사과정 수료(2015.8)
•현 건양대학교 재난안전소방학과 초빙교수

박정민(朴正敏)
•전남대학교 행정학 박사(2007.8)
•현 동신대학교 소방행정학과 교수
•『소방학개론』(2018, 윤성사)
•『소방행정학개론』(2016, 대영문화사)
•『지방행정론』(2008, 전남대학교출판부)
•소방조직의 재난관리 활동 역량에 대한 연구(2016, 『Cisisonomy』)

채진(蔡鎭)
•서울시립대학교 행정학 박사(2009.2)
•현 목원대학교 소방안전관리학과 교수
•중앙소방학교 전임교수 역임
•『재난관리론』(2017, 동화기술)
•『안전관리론』(2016, 동화기술)
•다조직의 재난관리 협력체계 분석(2012, 『한국행정학보』)

구재현(具宰賢)
•부산대학교 정밀기계공학 박사(2001.2)
•현 목원대학교 소방안전관리학과 교수
•대통령 직속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문위원
•국무총리 직속 국무조정실 정부업무평가단 평가위원
•소방방재청 국가 R&D사업단 사무국장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연구기획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