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행정학을 대학에서 가르친 지 십여 년이 넘었지만, 언젠가 나의 행정학 책을 쓰겠지라는 막연한 생각만을 한 채 미루어 두고, 여러 선배 교수의 책으로 강의를 해 왔었다. 그러다 올해 초부터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행정학 개론을 강의하면서 좀 더 이해하기 쉽게 설명할 수 있는 교재가 없을까 고민을 했었다. 기존의 개론서들로 강의를 하면서도 여전히 아쉬움이 컸기에, 일단 한번 학생들을 위한 강의용으로 나만의 정리 노트 형식의 파일을 만들어 보자는 생각을 했다. 강의를 할 때 나만의 원칙은 학생들에게 되도록 쉬운 예를 중심으로 이야기로 들려주고 싶었다. 행정학을 처음 대하는 학생들에게는 생소한 용어와 개념을 가상의 이야기로 설명해 줄 경우 훨씬 더 쉽게 받아들인다는 것을 그간의 강의 경력(?)으로 습득한 바였다. 대학교 1학년 학생들이 행정학이라는 학문에 대해서 좀 더 쉽게, 재미있게 받아들여 주었으면 했고, 그래서 수업 도중 이야기와 함께 그림을 살짝 넣는 시도를 해보았다. 예전 같았으면 분필로 칠판에 쓱쓱 그리면서 설명하던 도식과 상황을 지금은 그림 파일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첨단 기기와 프로그램의 도움이 있었기에 이런 시도를 할 수 있었다. 그렇게 시도한 수업을 한 학기 마치면서 학생들로부터 강의에 대한 평가를 피드백해 본 결과, 기존의 수업과는 달리 행정학 과목이 이렇게 재미있기도 하고 이해가 잘 되기도 한다는 반응을 얻었고, 이렇게 만든 강의용 파일을 책으로 발전시켜서 행정학을 처음 대하는 이들에게 행정학을 좀 더 이해하기 쉽게 전달해야겠다는 작은 목표가 생겼다.
  사실 책을 쓰는 일은 상당히 부담스럽고 힘들지만, 이번 나의 행정학 책 집필은 내가 가장 잘 아는 분야의 내용을 이야기와 그림으로 엮어 내는 작업이라서 작업 과정이 사실상 즐거웠다. 썩 잘 그리지 못하는 초딩 실력의 그림이지만 미숙한 그림을 그리면서 나름 새로운 세상을 만난 듯했다. 이 그림들과 이야기로 딱딱한 과목을 좀 더 친근하고 쉽게 받아들여 줄 수 있기를 기대하면서 한 시도였다. 나름 남의 그림을 모사도 해보고, 여러 번의 수정으로 좀 더 전문가다운 그림을 그렸으면 했으나, 중학교 미술시간 이외에는 그림을 제대로 그려본 적이 없는 터라 전문가처럼 되기 위해서는 그동안 행정학 공부에 쏟아부은 노력만큼의 시간이 투입되어야 함을 알았다. 결국 이 정도의 전달만을 할 수 있으면 되었다 생각하고(의사결정의 합리모형이 아닌 만족모형을 적용한 것임) 그린 그림이니 독자들의 그림에 대한 혹독한 평가는 달리 받을 준비는 하고있다.
  이야기와 그림으로 설명하는 한국의 행정학 개론서는 이 책이 최초일 것이다. 자연과학과 다른 학문에서는 많은 책이 이렇게 재미있게 구성되어 출간된 것을 찾아볼 수 있는데, 행정학이라는 과목은 공무원 수험서라는 인식 때문인지 이러한 시도가 없었다. 잘 그리지도 못하는 그림 실력과 그동안 수업에서 학생들에게 들려주던 이야기를 기반으로 용기 있는 시도를 하였음에, 두려움 반 기대 반으로 이 책을 출간하게 되었지만, 처음 행정학을 배우는 이들에게는 그 어떤 책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그리고 재미있게 받아들일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딱딱하고 방대한 기존의 수험서와는 달리 이 책은 처음 입문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특히 유용할 것이다. 앞으로 대학 가서 행정학을 전공해 보고 싶다고 생각하는 고등학생, 각종 공기업 및 입사시험을 치러야 해서 행정학을 처음 대하는 수험생에게는 이 한 권만으로도 행정학에 대한 기본적인 감을 잡게 해 줄 것이다. 이미 두꺼운 행정학 원론으로 내공을 다지고 있는 공무원 수험생들도 소설책 읽듯이 읽다 보면 이미 기계적으로 외운 개념을 좀 더 확실히 정리할 수 있을것이다.
  책의 구성을 살펴보면, 행정학의 정의, 역사, 가치, 조직, 인사, 재무, 지방행정, 행정개혁,기타 분야(전자정부, 규제개혁, 공공서비스)의 10장으로 나누어서 주요한 의문점을 우선 제기하고, 그에 따른 답을 하는 형태이다. 행정학 공부를 시작할 때 제기될 수 있는 질문 33가지를 고민했고, 그 질문에 대한 답으로 가장 기본적이면서 핵심적인 내용만을 담아 풀어가고자 했다. 그리고 각 장의 끝에는 QR 코드로 최근의 관련 신문기사를 읽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실적 행정감각을 기르도록 했고, 각 장에서 논의된 주제와 관련된 토론 과제를 제시해서 각 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용도 함께 실었다.
  끝으로 새로운 시도였음에도 불구하고 흔쾌히 이 작업을 맡아 주신 윤성사 정재훈 사장님께 감사드리며, 지금까지의 행정학 지식과 공부에 도움을 주셨던 은사님들에게도 고마운 마음을 전한다. 그리고 이 책의 출판 작업으로 여러모로 가족들에게 바쁨의 핑곗거리가 생겨 남편과 아이들에게 소홀한 점이 많았는데, 잘 받아 주고 이해해 줘서 깊이 감사하고 사랑한다는 말을 전해 주고 싶다.
2019년 11월
연구실에서

<차례>
| 1장 | 행정이란 무엇인가요? : 행정의 정의_ 11
  1. 행정은 뭐라고 정의내릴까요?_ 13
  2. 행정과 경영은 뭐가 다른가요?_ 16
  3. 행정과 정치는 같은 거 아닌가요?_ 19
  4. 현대 행정은 과거 행정과 다른가요?_ 24

| 2장 | 행정은 어떻게 변화되어 왔나요? : 행정의 역사_ 31
  1. 고대사회에서부터 현대 행정학의 출발 전까지 어떻게 변화되어 왔나요_ 33
  2. 행정학은 언제, 어떻게 등장했나요? (1800년대)_ 36
  3. 행정은 관리하는 걸까요? (1910년대 이후)_ 40
  4. 행정이 모든 국가 운영을 지배하는 걸까요? (1940년대)_ 43
  5. 행정에 대한 다양한 시각으로 어떤 것들이 있나요? (1950~60년대) 53
  6. 행정은 최소한의 역할만 해야 하는 걸까요? (1970~2000년대)_ 59

| 3장 | 행정은 어떤 가치를 추구하는 걸까요? : 행정의 가치_ 75
  1. 본질적으로 추구하는 궁극적 가치는 무엇인가요?_ 77
  2. 궁극적 가치를 추구하기 위한 수단적 가치는 무엇인가요?_ 84

| 4장 | 행정은 어떤 시스템에 의해서 움직이는 걸까요? : 조직_ 93
  1. 조직이란 무엇인가요?_ 95
  2. 조직을 설명해 주는 이론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_ 98
  3. 조직의 구조는 어떤 형태를 보여주나요?_ 108
  4. 조직 속에 일하는 사람들을 어떻게 관리하나요?_ 117

| 5장 | 공무원은 어떻게 뽑고, 어떻게 관리하는 걸까요? : 인사_ 133
  1. 공무원을 선발하는 제도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_ 135
  2. 공무원이 되면 어떤 구조 속에서 일하는가요?_ 140
  3. 공무원 채용 후 인사관리는 어떻게 하나요? _ 147

| 6장 | 정부의 돈은 어떻게 쓰이는 걸까요? : 재무_ 169
  1. 정부 예산은 무엇인가요?_ 171
  2. 정부가 쓰는 돈은 어떤 과정을 거쳐서 쓰이나요?_ 179
  3. 정부가 쓰는 돈은 왜 꼭 A사업에 쓰이지 않고 B사업에 쓰일까요?_ 189
  4. 정부가 쓰는 돈에 대한 제도는 어떻게 변화되어 왔나요?_ 196

| 7장 | 행정은 무엇을 만들어 내는가요? : 정책_ 205
  1. 정책이란 무엇인가요?_ 207
  2. 정책을 만들어 내기 위해 누가 참여하나요?_ 214
  3. 정책은 어떤 과정을 거쳐서 이루어지나요?_ 217

| 8장 | 내가 사는 동네에서는 어떻게 행정이 이루어지나요? : 지방행정_ 249
  1. 지방자치란 무엇인가요?_ 251
  2. 지방정부는 중앙정부와 어떻게 일을 나누어서 하는 걸까요?_ 255
  3. 지방정부가 독립하려면 돈이 필요한가요?_ 258

| 9장 | 어떻게 해야 더 좋은 나라로 변화되어 갈까요? : 행정부패와 개혁_ 265
  1. 정부에서 일하는 공무원이 부패하지 않아야 좋은 나라이지 않을까요?_ 267
  2. 정부는 새로운 방식으로 운영하는 것을 계속 시도해야 하지 않을까요?_ 273

| 10장 | 그 밖에 이것저것 궁금한 것들 : 기타_ 279
  1. 전자정부란 무엇인가요?_ 281
  2. 정부 규제란 어떤 건가요?_ 285
  3. 공공 서비스는 어떻게 공급되나요?_ 290

<저자 소개>
박민정
현, 원광대학교 행정언론학부 교수
현, 행정안전부 정부혁신추진협의회 민간위원, 정부혁신평가 평가위원,
정부혁신컨설팅단 위원, 국방부 자체평가위원
전, 한국행정연구원 연구위원(2006~2009)
서울대학교 행정학 박사
부산대학교 행정학 학사, 석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