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정책학의 목적은 우리 사회가 직면한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궁극적으로 인간의 존엄성을 실현하는 데 있다. 인간의 존엄성 실현을 위해 정책은 어떠한 내용을 담아야 하고, 어떠한 과정을 거쳐 결정되며 집행·평가되는지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연구하는 학문이 정책학이다.
  이 책은 정책학의 전통적 패러다임을 토대로 해서 정책 내용과 과정의 핵심 내용을 10장으로 정리해 집필했다. 각 장은 독자들의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 도입부에 ‘개관 및 학습 포인트’를 서술했고, 말미에는 핵심 내용의 정리를 위해 ‘OX 퀴즈’와 ‘사례와 토론’을 추가했다. 각 장을 간략히 소개하면 아래와 같다.
  1장에서는 정책의 개념, 정책학의 필요성과 역사에 관해 서술했다,
  2장은 정책 과정의 참여자를 다뤘다.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 등 정통적 의미의 공식적 참여자와 최근 정책 과정에서 역할이 중요시되고 있는 비공식적 참여자(정당, 이익집단, 시민단체,전문가 그룹, 언론 등)에 대해 논의했다.
  3장에서는 정책 유형 분류에 관해 논의했는데, 로위, 앨먼드와 파월, 리플리와 프랭클린, 샐리스버리 등 다양한 학자들의 견해를 바탕으로 정책을 규제정책, 분배정책, 구성정책, 상징정책 등 여러 유형으로 분류하고 그 특성을 서술했다.
  4장은 정책 과정에서 국가와 다양한 집단 간에 나타나는 상호작용을 권력구조론 관점과 계급이론적 관점에 비춰 논의했다. 권력구조론 관점은 다원주의이론, 조합주의이론, 뉴거버넌스, 엘리트이론 등을 살펴봤고, 계급이론적 관점에서는 마르크스이론, 관료적 권위주의를 살펴봤다.
  5장은 정책의제 관련 개념과 의제의 형성 과정과 설정모형을 소개했다. 정책의제란 정책담당자가 공식적으로 다루기로 결정한 정책문제인데, 이 장에서는 의제가 설정되는 과정을 콥과 엘더 모형, 콥, 로스와 로스 모형, 킹던의 정책의 창 모형 등 대표적인 정책의제 설정모형을 통해 알아봤고, 의제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인 문제의 중요성, 시간적 적실성, 정치적 요인 등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6장은 정책결정모형과 정책대안 설정 및 미래 예측 방법을 다뤘다. 정책에 대한 정부의 의사결정이 합리성과 참여 수준에 따라 어떻게 분류될 수 있는지 합리모형, 만족모형, 관료정치모형, 점증주의모형 등 다양한 모형을 소개했고, 정책대안이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에 대한 분석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봤다.
  7장은 정책 집행을 논의했다. 정책 집행은 정책 목적 실현을 위해 의사결정이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실천적 단계다. 정책집행연구 관련 접근 방법과 정책 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정책대상집단의 정책순응과 불응에 대해서 서술했다.
  8장에서는 정책평가에 관해 서술했다. 정책평가는 정책이 목표한 대로 집행되고 목표를 달성했는지 등을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정책평가의 개념과 필요성을 강조했고, 평가를 시점,주체, 목적, 방법 등에 따라 유형화해서 논의했다.
  9장의 내용은 정책 변동에 관한 것이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회가 변하고 환경이 변하면서 정책도 변하게 된다. 정책 변동은 정책이 변화됐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 장에서는 정책 변동을 변동 유형과 변동을 설명하는 이론적 모형을 중심으로 서술했다.
  마지막 10장에서는 우리나라의 정책평가제도를 소개했다. 정부 업무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1961년부터 운영해 온 정부업무 평가제도를 중심으로 평가제도의 목적, 추진 체계, 종류와 절차 등을 서술했다.
  이 책은 책제목에서 보듯이 정책학을 처음 대하는 독자들과 정책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정책학의 전반적 체계와 내용을 가능한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쓰려고 노력했다. 저자들의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내용상 다소 미흡하거나 아쉬운 면이 있을 것인 만큼 앞으로 독자들의 의견을 경청해서 더 나은 강의용 교재가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보완하고 수정해 나갈 것을 약속드린다.
  책이 나오기까지 함께 고생하신 많은 분께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 먼저, 책의 구성과 집필을 위해 열과 성을 다해주신 주운현, 홍성우, 정원희, 서인석, 네 분 교수님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아울러, 이 책의 출판을 위해 헌신적인 노력을 마다하지 않으신 윤성사의 정재훈 사장님과 완성도 높은 편집과 세심한 교정으로 책의 질을 한층 높여주신 실무자분들께도 깊이 감사드린다. 끝으로, 책이 출간되기까지 집필진에게 많은 조언과 성원을 보내주신 모든 분께도 감사드린다.
2019년 1월
저자들을 대표해서
이용모 씀

<차 례>
1장 정책의 의의
제1절 정책의 의의_ 15
  1. 정책의 개념_ 15
  2. 정책의 중요성_ 17
제2절 정책연구의 필요성_ 19
  1. 정책학의 특징_ 19
  2. 정책학의 필요성_ 20
제3절 정책학의 역사_ 27
  1. 정책학의 등장_ 27
  2. 현대 정책학의 발전 과정_ 28
  3. 한국 정책학의 역사_ 35

2장 정책 과정의 참여자
제1절 정책참여자의 의의_ 43
제2절 공식적 참여자_ 44
  1. 입법부(의회)_ 44
  2. 대통령(국무위원)_ 46
  3. 관료집단_ 47
  4.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_ 49
  5. 사법부_ 50
제3절 비공식적 참여자_ 51
  1. 정당_ 51
  2. 비정부단체(NGO)_ 52
  3. 이익집단_ 54
  4. 전문가집단_ 56
  5. 언론과 여론_ 57
  6. 일반시민_ 58

3장 정책의 유형
제1절 의의_ 69
제2절 정책 유형_ 70
  1. 로위의 정책 유형 분류_ 70
  2. 앨먼드와 파월의 정책 유형 분류_ 74
  3. 리플리와 프랭클린의 정책 유형 분류_ 76
  4. 챔프니의 정책 유형 분류_ 78
  5. 샐리스버리의 정책 유형 분류_ 79

4장 정책 과정의 이론
제1절 국가와 권력_ 89
제2절 권력구조론적 관점_ 93
  1. 다원주의이론_ 93
  2. 코포라티즘(조합주의)_ 97
  3. 뉴거버넌스_ 101
  4. 엘리트이론_ 104
제3절 계급이론적 관점_ 108
  1. 마르크스이론_ 108
  2. 관료적 권위주의_ 110

5장 정책의제의 형성
제1절 개념적 논의_ 121
  1. 의의 121
  2. 의제설정의 중요성_ 122
제2절 정책문제의 구조화_ 124
  1. 사회문제와 정책문제_ 124
  2. 정책의 장_ 125
  3. 정책문제의 세 가지 유형_ 126
제3절 정책의제 형성 과정_ 128
  1. 개인문제 : 사회문제로의 인지_ 129
  2. 사회문제 : 사회적 쟁점화_ 129
  3. 정책문제 : 쟁점의 공중의제화_ 130
  4. 정책의제 : 쟁점의 공식의제화_ 132
제3절 정책의제 설정모형_ 133
  1. 코브와 엘더의 모형_ 134
  2. 코브, 로스와 로스의 모형 : 주도 집단에 따른 의제형성 모형 _ 136
  3. 킹던의 정책의 창 모형_ 141
제4절 정책의제 채택 영향 요인_ 144
  1. 정책의제의 의미와 성격_ 144
  2. 정책의제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_ 145
  3. 정부의제로 전환되지 못하는 원인_ 150

6장 정책 결정 및 대안의 분석
제1절 정책결정모형_ 159
  1. 정책 결정의 의의와 중요성_ 159
  2. 정책결정모형의 유형 기준으로서 합리성과 권력_ 160
  3. 정책결정 이론모형_ 163
제2절 정책대안 설정 과정_ 180
  1. 정책문제_ 180
  2. 정책 목표와 수단_ 183
  3. 정책대안의 개발_ 186
제3절 정책대안의 분석: 미래예측 방법과 의미_ 188
  1. 정책 결과의 예측_ 188
  2. 정책대안의 미래예측 방법 : 추세 연장, 이론, 판단_ 190

7장 정책 집행
제1절 정책 집행의 개념_ 207
제2절 정책집행연구의 접근 방법_ 209
  1. 고전적 정책집행관과 현대적 정책집행관_ 210
  2. 하향적, 상향적 및 통합적 접근방법_ 213
제3절 정책 집행의 영향 요인과 정책순응_ 219
  1. 정책 집행의 영향 요인_ 219
  2. 정책순응과 정책불응_ 221

8장 정책평가
제1절 정책평가의 개념 및 필요성_ 237
  1. 정책평가의 배경 및 의의_ 237
  2. 정책평가의 필요성 및 목적_ 239
제2절 정책평가의 유형 및 기준_ 241
  1. 정책평가의 유형_ 241
  2. 정책평가의 기준_ 244
제3절 정책평가의 설계_ 246
  1. 정책평가의 과정_ 246
  2. 정책평가의 방법과 활용_ 248

9장 정책 변동
제1절 정책 변동의 의의_ 263
  1. 정책 변동의 개념_ 263
  2. 정책 변동의 유형_ 264
  3. 정책 변동의 저해 요인_ 272
제2절 정책 변동의 이론적 모형_ 274
  1. 호퍼베르트의 정책산출 변동모형_ 274
  2. 무치아로니의 이익집단 위상 변동모형_ 276
  3. 다중흐름모형_ 279
  4. 옹호연합모형_ 282

10장 우리나라의 정책평가제도
제1절 정책평가의 의의_ 297
제2절 정부업무 평가제도의 연혁_ 298
  1. 정부 업무 평가 변천 개요_ 298
  2. 정부 업무 평가제도 및 추진 체계의 변화_ 299
제3절 한국의 정부업무 평가제도_ 304
  1. 기본 개념_ 305
  2. 정부 업무 평가의 목적 및 기본 원칙_ 306
  3. 정부 업무 평가 추진 체계_ 307
  4. 정부 업무 평가 종류 및 절차_ 309
  5. 정부 업무 평가 결과의 공개 및 활용_ 317
OX 퀴즈 정답_ 323
참고 문헌_ 325
찾아보기_ 341

<저자 약력>
이용모(李龍模)
미국 뉴욕대학교(New York University)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건국대학교 사회
과학대학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구 관심 분야는 재정, 지방분권, 계량분석 등이고, 최근
논문으로는 “시·군 조정교부금제도의 개정이 재정형평성에 미치는 영향”(2017), “문화영향평가
의 대상과 적용 범위에 관한 연구”(2016), “무조건부 보조금의 감소가 지방정부 지출에 미친 영향
분석”(2016) 등이 있다(ymlee@konkuk.ac.kr).

주운현(朱雲鉉)
건국대학교에서 행정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건양대학교 국방경찰행정학부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지방재정, 지방행정, 환경행정 등이며, 최근 주요 논문으로는 “지방자
치단체 세회수입 확충을 위한 요율현실화 방안에 관한 연구”(2016), “사회복지지출 영향요인에 관
한 연구”(2016), “국고보조사업 기준보조율의 법정화에 관한 연구”(2016), “기초자치단체단체 민
간보조금의 전략적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2017), “지방자치단체 사업예산 성과관리 실태분석”
(2017), 저서로 쉽게 쓴 행정학 (2018) 등이 있다(joowh@konyang.ac.kr).

홍성우(洪性佑)
경희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대진대학교 행정학과에 재직 중이다. 주요 관
심 분야는 정책과정, 지역개발, 시민참여 등이며, 최근 주요 논문으로 “정책형성 과정에서의 정
책오차의 내재가능성 분석”(2018), “정책 속성에 따른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정책 채택에 관한 연
구”(2018), “시민참여형 도시기본계획 수립 사례의 거버넌스 특성 분석”(2016), “정책네트워크 관
점에서의 단말기 보조금 규제정책 형성과정 분석”(2015), “개발촉진지구사업의 정책효과 분석”
(2007) 등이 있다(hsw89@daejin.ac.kr).

정원희(鄭元熙)
경희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건양대학교 국방경찰행정학부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인사, 조직, 과학기술정책, 기후변화, 갈등 등이며, 최근 주요 논문으로
는 “Socio-ecological resilience of Oil spill: Focusing on the hebei spirit oil spill on the west
coast of Korea”(2016), “비교과 프로그램이 대학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K 대학교를 중심으로”
(2017), “공공재로서의 안전과 안전복지 강화 방안: 충청남도를 중심으로”(2017), “IPA 매트릭스를 활
용한 국립관리공단의 목표 및 과제 우선순위 분석: 보호지역 관리에 대한 TBL 지속가능성 이론을 중
심으로”(2017), 저서로 『쉽게 쓴 행정학』(2017) 등이 있다(chung0405@konyang.ac.kr).

서인석(徐寅錫)
성균관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안양대학교 행정학과에 재직 중이다. 주요 관
심 분야는 정책이론, 정책분석, 정책평가, 연구방법론 등이며, 최근 주요 논문으로는 “정책의제, 주
도자, 그리고 문지기”(2017), “정책신념 변화는 시간의 전유물인가”(2016), “정책 명칭, 상징, 그리
고 수용”(2014), “Factors affecting government-funded research”(2018), “Mediating Role of
Entrepreneurship in Explaining the Association between Income Inequality and Regional
Economic Performance”(2018), 저서로 『정책이론핸드북』(2018), 『인트로행정학』(2017) 등이 있다
(inseok800414@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