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주지하다시피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행정환경은 국내·외적으로 급격한 소용돌이 속에 놓여 있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 속에 정부가 무슨 일을 어떻게 하고 있고, 또 해야 하는가에 대해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행정학의 존재 이유라고 할 수 있다.
  2016~2018은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와 문재인 정부의 등장, 북핵 위기 등 숨가쁜 역사의 흐름 속에서 현실적으로 행정학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특히 촛불혁명은 성숙된 시민의식과 민주주의를 전면에 부각시키는 계기가 되었고, 세월호 참사는 우리 사회의 실상을 여실히 드러내는 일대 사건이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행정학은 해답을 내놓아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더 나아가 행정고시를 비롯한 각종 공무원시험과 공기업·공사시험에서는 물론 행정사 등 각급 자격시험에서도 행정학의 중요성은 증대되었다.
  이와 같은 변화의 추세 속에서 우리 저자들은 행정학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를 뛰어넘어 실전에서의 대처 능력을 키우는 것 또한 매우 시급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이번 작업에 임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저자들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사항에 유의하면서 이 책을 집필했다.
첫째, 이 책 한 권으로 행정학 전반적인 내용을 포괄하면서도 핵심적인 내용만을 담도록 노력했다. 오늘날 행정의 복잡성과 다양성을 고려해서 기초지식에서부터 지방자치에 이르기까지 종합적으로 다루고자 했다.
둘째, 행정학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핵심적인 학습 목표, 더 알아보기, 생각해 볼 문제 등을 담았다. 이 문제들은 각종 시험 기출 문제를 포함해 저자들이 직접 출제한 최신 응용 문제들로 구성되어 있다.
셋째, 세 분의 현직 교수가 전공 영역별로 분담해 집필했다. 각자의 분담 영역을 보면, 우선 최창현 교수가 행정학의 기초 이론, 조직론 및 인사행정론을, 금재덕 교수가 재무행정론과 행정개혁론을, 그리고 사득환 교수는 정책론과 지방자치론을 각각 담당했다.
  이와 같은 방향에서 전체적으로 일관성과 체계성을 갖춘 책으로 저술하고자 노력했지만, 늘 그렇듯이 책을 집필해 놓고 나면 뭔가 아쉬움이 남는 것은 어쩔 수 없는 모양이다. 이에 대해서는 여러 독자들의 판단에 맡기고자 한다.
  끝으로 여러 가지 어려운 출판 여건에서도 이 책의 출간을 흔쾌히 허락해 준 도서출판 윤성사 정재훈 사장님과 깔끔한 편집을 위해 수고해 주신 편집부에도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2019년 1월
저자 일동

<차례>
제1장 행정의 정의와 정부
제1절 행정의 정의 15
  1. 정치행정이원론 _ 16
  2. 정치행정일원론 _ 17
제2절 정부와 행정 18
  1. 정부의 정의와 조직구조 _ 18
  2. 정부의 필요성과 좋은 정부 _ 24
제3절 정부 규모 논쟁 27
  1. 작은 정부 대 큰 정부 _ 27
  2. 한국 정부의 규모 _32
더 알아보기 34
생각해 보기 38

제2장 행정학의 접근 방법과 행정 이념
제1절 행정학의 접근 방법 43
  1. 역사적 접근 방법 _ 43
  2. 법률적·제도론적 접근 방법 : 행정학 연구 초기의 방법 _ 44
  3. 관리기술적 접근 방법 _ 44
  4. 생태론적 접근 방법 _ 45
  5. 행태론적 접근 방법 _ 46
  6. 신행정학적 접근 방법(후기 행태론적 접근 방법) _ 47
  7. 체제적 접근 방법 _ 48
  8. 공공선택론적 접근 방법 _ 50
제2절 현대 행정의 이념 53
  1. 행정 이념 _ 53
  2. 행정 이념 간의 관계 _ 54
더 알아보기 55
생각해 보기 59

제3장 미국 행정학의 기원과 발달 과정
제1절 행정학의 태동기(고전기 행정학) 63
  1. 엽관주의의 폐해와 진보주의운동의 시작 _ 63
  2. 펜들턴법의 시행 _ 63
  3. 정치행정이원론의 대두 _ 64
제2절 기술적 행정학 66
  1. 1920~30년대의 행정관리과학 _ 66
  2. 과학적 관리법과 행정관리론 _ 67
제3절 기능적 행정학 67
  1. 정치·행정 분리에 대한 반발 : 기능적 행정학 _ 67
  2. 행정관리론에 대한 비판 : 신고전적 이론 _ 68
제4절 행정학의 다원화와 후기산업사회 행정학 69
  1. 1950~1960년대 _ 69
  2. 1970년대 _ 71
  3. 1980년대_ 72
  4. 1990년대 이후 : 협치를 통한 국정관리 _ 73
더 알아보기 78
생각해 보기 81

제4장 조직론
제1절 조직의 필요성과 정의 85
  1. 조직의 필요성과 의사소통 _ 85
  2. 조직의 정의 _ 89
  3. 조직의 유형 _ 95
제2절 조직이론의 발달 97
  1. 조직이론의 분류 _ 97
  2. 폐쇄-합리적 고전 조직이론 _ 98
  3. 폐쇄-자연적 신고전 조직이론 _ 103
  4. 개방-합리적 조직환경이론 _ 122
  5. 조직이론의 요약 _ 124
제3절 현대 조직이론 126
  1. 조직구조와 설계 _ 126
  2. 구조적 상황이론과 기타 조직환경이론 _ 127
더 알아보기 136
생각해 보기 139

제5장 인사행정론
제1절 인사행정의 기초 이론 145
  1. 인사행정의 의의 _ 145
  2. 인사행정제도의 발달 : 임용제도 _ 145
제2절 인사행정제도 151
  1. 공직구조 _ 151
  2. 공직 분류 체계 _ 153
제3절 인적자원관리 157
  1. 인력계획 _ 157
  2. 인적 자원의 확보 _ 159
제4절 동기부여 : 성과와 보상의 연계 179
  1. 동기부여의 정의 _ 179
  2. 동기부여이론 _ 179
  3. 성과급제 _ 184
제5절 공무원의 행동규범 186
  1. 공무원의 신분 보장과 징계 _ 186
  2. 공무원의 권리 _ 188
  3. 인사행정의 발전 방향 _ 191
더 알아보기 194
생각해 보기 199

제6장 정책론
제1절 정책학의 기초 이론 207
  1. 정책학의 발전 _ 207
  2. 정책의 의의 및 유형 _ 208
  3. 정책연구의 필요성 _ 213
제2절 정책환경과 정책 과정 참여자 214
  1. 정책환경의 개념 및 구성 요소 _ 214
  2. 정치 체제와 환경 간의 관계 _ 215
  3. 정책 과정의 단계 _ 216
  4. 정책 과정의 참여자 _ 216
제3절 정책형성 218
  1. 정책형성의 의의 _ 218
  2. 정책형성의 과정 _ 219
  3. 정책형성의 유형 _ 221
  4. 정책형성의 영향 요인 _ 224
제4절 정책결정 228
  1. 정책결정의 성격 _ 228
  2. 정책결정의 유형 _ 229
  3. 정책결정모형 _ 230
제5절 정책집행 236
  1. 정책집행의 의의 _ 236
  2. 정책집행 연구의 발전 _ 237
  3. 정책집행의 유형 _ 239
제6절 정책평가 242
  1. 정책평가의 의의 _ 242
  2. 정책평가의 일반적 절차 _ 243
  3. 정책평가의 유형 _ 244
제7절 정책종결 및 정책변동 245
  1. 정책종결의 의의 _ 245
  2. 정책변동의 유형 _ 246
  3. 정책학습 _ 248
더 알아보기 250
생각해 보기 253

제7장 재무행정론
제1절 재무행정 총론 257
  1. 재정의 목적과 구조 _ 257
  2. 회계연도와 회계의 구분 _ 258
  3. 재정의 범위와 기능 _ 266
  4. 국가채무와 재정건전화 방안 _ 271
제2절 예산론 274
  1. 예산의 기초 _ 274
  2. 예산의 원칙 _ 282
  3. 예산의 구성 _ 288
  4. 예산 과정 _ 296
  5. 예산이론 _ 311
  6. 예산제도 _ 314
더 알아보기 319
생각해 보기 323

제8장 지방자치론
제1절 지방자치의 개념 및 의의 329
  1. 지방자치의 개념 및 연구 대상 _ 329
  2. 지방자치의 구성 요소 _ 329
  3. 주민자치와 단체자치 _ 330
  4. 우리나라의 지방자치 _ 331
제2절 지방정부의 종류 및 계층구조 333
  1. 지방정부의 개념과 종류 _ 333
  2. 지방정부의 구역과 계층구조 _ 335
제3절 지방정부의 기관 구성 337
  1. 기관 구성의 의의 _ 337
  2. 지방의회의 조직과 운영 _ 339
  3. 지방자치단체장과 집행기관 _ 342
  4. 지방의회와 집행기관 간의 관계 _ 344
제4절 자치권과 사무 345
  1. 자치권의 의의와 내용 _ 345
  2. 자치사무 _ 348
  3. 지방자치 재정 _ 350
제5절 정부간 관계론 355
  1. 정부간 관계의 의의 _ 355
  2. 정부간 관계모형 _ 356
제6절 주민 참여 357
  1. 주민 참여의 개념 _ 357
  2. 주민 참여의 유형 _ 358
  3. 주민 참여의 활성화 _ 359
제7절 교육자치와 자치경찰 360
  1. 교육자치 _ 360
  2. 자치경찰 _ 362
더 알아보기 366
생각해 보기 368

제9장 행정개혁론
제1절 행정개혁의 기초 371
  1. 개념 _ 371
  2. 특징(성격) _ 371
  3. 행정개혁의 촉진 요인 _ 372
제2절 행정개혁의 접근 방법 374
  1. 개념 _ 374
  2. 유형 _ 374
제3절 행정개혁의 이론적 흐름과 가치의 변화 376
  1. 전통행정론 _ 377
  2. 공공관리론 _ 377
  3. 신행정론 _ 377
  4. 신공공관리론 _ 378
  5. 신국정관리론 _ 378
  6. 신공공서비스론 _ 379
제4절 행정개혁의 실패 원인 및 저항의 극복 방안 380
  1. 행정개혁의 실패 원인 _ 380
  2. 저항의 극복 방법 _ 381
더 알아보기 382
생각해 보기 383
참고 문헌 385
찾아보기 395

<저자소개>
최창현
뉴욕주립대 록펠러 행정대학원 행정학 및 정책학 박사, 현 금강대학교 글로벌 융합학부 초빙교수, 전 한국행정학회 부회장, 한국조직학회 회장, 한국행정학회 학술정보위원장, 편집이사, 한국공공관리학회 편집위원장, 한국반부패정책학회 부회장, 대통령 자문 정부혁신위원회 전문위원, 관동대 교수, 뉴욕주립대 객원교수, RPI 경영대학원 초빙교수, 9급, 7급, 행시 출제위원, 정책분석평가사 1급 자격증. 주요 저서로는 정책분석평가와 성과감사, Introducing Public Administration, 조사방법론, 행정학: 핵심정리 및 문제연습, 새조직론, 문화력으로서 한류 이야기, 국력이란무엇인가, 좋은 정부란 무엇인가 등 저서/공저 및 역서 40여 권과 “징병제 폐지와 모병제 도입 논의에 대한 분석”,“한국의 국력 신장을 위한 국가 능률성 분석”, “지방정부의 연결망 구조 분석” 등 40여편의 논문이 있다. 주요 연구 관심 분야는 조직론, 국력, 복잡계 과학 등이 있다.

사득환
1996년 고려대학교 행정학박사. 현 경동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한국행정학회 대외협력위원장, 한국정책학회 부회장, 한국국정관리학회 부회장, 행정안전부 정부합동평가단 위원 등으로 활동 중. 각급 공무원시험 출제위원. 주요 저서로는 새행정이론, 환경정책론, 사회복지행정론(공저)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Chaos, Uncertainty, and Policy Choice: Utilizing the Adaptive Model”, “Converting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 into a Peace Park”, “Towards Higher Educational M-Learning Platform for Conceptual STEAM Environment”, “정책연구의 패러다임 변화와 적응모형”, “선진국의 사회적기업정책과 한국적 시사점”, “정책패러독스(policy paradox)와 합리적 선택의 실패”, “한국 기업의 CSR활동 평가”, “기술경쟁의 정치동학: 연합과 반연합의 정치경제”, “복지다원주의, 시장 그리고 한국적 모델”, “남북 공유하천 갈등과 독일 통합사례”, “이민정책의 Paradox: 한국적 적실성과 가능성” 등이 있다. 주요 연구 관심 분야는 정책학, 환경정책, 복지정책 및 통일정책이다.

금재덕
2006년 럿거스 뉴저지 주립대(Rutgers, New Jersey State University at Newark) 행정학 박사. 현 서울시립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서울시 재정분권추진단장, 서울시 재정계획심의위원회 심의위원, 한국지방재정학회 부회장, 행정안전부 지방재정위기관리 실무위원회 실무위원 등으로 활동 중. 주요 저서로는 Public Deliberation and Performance Measurement: Strengthening Beneficial Effects of Performance Measurement on City Management and Municipal Democracy 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Incentives, Certification, Targets in Peformance Budgetign”, “성과관리체계의 부정적 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지방재정 자율성이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방정부 성과관리와 프로그램 예산제도: 조직-목표-예산의 상호연계성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과 미국의 성과주의 예산의 제도화 비교 분석” 등이 있다. 주요 연구 관심 분야는 지방재정, 재무행정, 성과평가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