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한국의 관료제가 그간 한국 사회와 경제의 발전에 크게 기여한 바를 부인할 수 없지만 최근 들어 한국 사회에서 정부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국민들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과연 무엇이 문제일까. 하루가 멀다 하고 뉴스에 나오는 정부의 무능, 무책임, 부도덕함의 이유는 무엇일까. 어떻게 최소한 다른 경쟁국, 선진국의 행정과 같은 수준으로 한국 행정의 수준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문제 제기와 나름의 대답이 이 책의 시작이자 끝이 되겠다.아마 필자의 노력은 이번 책 출간으로 끝날 것이 아니고 계속 고민해 가면서 증보해 나가는 가운데 조금씩 그 해법이 달라지지 않을까 예상해 본다. 이런 면에서 이 책의 출간은 해답을 찾아가는 필자의 작은 시도이자 시작점에 해당될 것이다.
  이 책은 기존의 한국행정론 교재들에 비해서 두 가지 점에서 차별점을 두고자 했다. 첫째, 다른 교재들이 한국 행정의 기능과 제도를 파노라마식으로 소개하는 방식을 택했다면 이 책은 한국 행정의 특징을 나타내 주는 대표적 현상을 기능별로 제시하고자 했다. 둘째, 이러한 작업은 행정학의 이론들을 바탕으로 하고자 노력했다.
  한 국가의 행정 시스템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행정을 이해하기 위해 개발된 다양한 이론과 접근 방법, 그리고 구체적인 사례들에 대한 분석과 비교연구를 섭렵하고, 이로부터 도출된 잠정적인 설명의 명제들을 다시 대상 국가의 행정 현실과 대응시켜 검증해 보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런 면에서 이 책에서는 행정의 주요 접근 방법과 패러다임을 원용하고 한국행정의 사례 중 그 특성을 가장 잘 나타내 주는 대표적인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한국 행정의 특징과 현실, 나아가 처방을 제시하고자 시도했다. 한국 행정의 실무를 설명하고 나열하는 데서 나아가 그 밑에 흐르는 질서의 논리를 파악해 보고자 노력했다.
  부족한 지식으로 이러한 노력을 하려다 보니 설익은 주장이 남용되지 않았나 하는 두려움이 앞선다. 독자들이 이런 식으로도 생각해 볼 수 있겠다 여겨 준다면 성공한 것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앞으로 한국행정론 교재로 사용하면서 더 풍부하고 적실성 있는 내용을 담을 수 있도록 증보해 나갈 것을 약속드린다.
  이 책은 한국행정론을 강의하면서 정리한 한국 행정에 대한 저자의 이해 노력이자 수업을 통해 의견을 제시하고 함께 토론해 온 학생들의 아이디어 뱅크이기도 하다. 수업에 참여해 준 내외국인 학생들에게 감사를 표한다. 항상 깨달음을 주는 행정학계의 선후배 연구자분들, 서울시립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님들, 가족들에게 감사하며, 어려운 사정에도 흔쾌히 출간해 준 윤성사의 정재훈 대표님께도 감사를 드린다.
2019년 5월
이정희

<차례>
제1편 행정학의 접근 방법과 한국 행정

제1장 연구의 필요성과 대상 13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3
제2절 연구의 목적과 내용 17

제2장 한국 행정 연구의 접근 방법 20
제1절 개요 20
제2절 관료제이론 23
제3절 공공관리론 30
제4절 민주행정론과 신행정론 38
제5절 신공공관리론 45
제6절 후기신공공관리론 50
제7절 발전행정 및 발전국가론 55

제3장 주요 접근 방법 간의 비교와 한국 행정 61
제1절 행정학의 주요 접근 방법과 정치-행정 관계 61
제2절 행정학의 주요 접근 방법과 행정 기능 63
제3절 행정학의 주요 접근 방법과 한국 행정 65

제2편 한국 행정의 구조와 기능

제4장 기획과 국가 발전 71
제1절 개념적 틀 71
제2절 발전도상기의 기획과 한국 행정 75
제3절 경제성숙기의 기획과 한국 행정 76

제5장 대통령 국정의제 79
제1절 개념적 틀 79
제2절 대통령 국정의제 추진과 국정 지지율 간의 관련성 82
제3절 국정의제의 추진 전략 84

제6장 관료제의 정치화와 통제 92
제1절 개념적 틀 92
제2절 관료제에 대한 정치적 통제 방식 95

제7장 공공투자사업에 대한 의사결정 101
제1절 공공투자 의사결정 프레임워크 101
제2절 한국의 공공투자 의사결정제도 : 예비타당성조사 108
제3절 한국의 제도적 특성과 개선 방향 113

제8장 정부조직 개편 116
제1절 개념적 틀 : 정부 재구조화의 의의 116
제2절 행정재구조화 접근 방법 123
제3절 우리나라의 행정조직 개편 129

제9장 고위공무원단에 대한 대표관료제 도입 137
제1절 고위공무원단제도 137
제2절 대표관료제 139
제3절 고위공무원단제도, 대표관료제와 한국 행정 143

제10장 집권적 재정관리 145
제1절 재정관리 프레임워크 145
제2절 한국의 재정관리 148
제3절 재정관리의 개선 방향 152

제11장 정부 3.0 개혁 156
제1절 개념적 틀 : Gov2.0운동 156
제2절 우리나라의 정부 3.0 행정개혁 162
제3절 우리나라 열린정부운동의 발전 방향 164

제12장 열린정부 재정정보 공개 168
제1절 재정정보 공개와 후기신공공관리론 168
제2절 열린 재정정보 선진국 사례 169
제3절 한국의 재정정보 공개 플랫폼과 향후 발전 방향 174

제13장 중앙-지방 간 복지 지출 분담 갈등 178
제1절 지방재정의 건전성 위기 178
제2절 미국의 비재정 지원 위임 사례 181
제3절 한국의 중앙-지방 관계의 특성과 제도적 개선 방향 183

제3편 한국 행정의 과제와 미래

제14장 한국 행정의 현재와 과제 189
제1절 책임지지 않는 권력 관료 체제 189
제2절 행정제도 간 혼합과 불협화음 192
제3절 조직화된 집단이익 추구 195
제4절 공급자 위주의 공공 서비스 197

제15장 한국 행정의 미래 198
제1절 한국 행정개혁의 방향과 유의점 198
제2절 한국 행정의 과제 202

<저자약력>
이정희(luckhee@uos.ac.kr)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아메리칸대학(American University)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시립대학교 행정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서울시립대학교 기획부처장을 역임했다. 한국 행정학회 및 서울행정학회 편집위원, 한국정부회계학회 및 지방계약학회 총무이사, 한국재무행정학회 설립준비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재정규율 및 재정건전성을 위한 예산관리, 재정통계 및 정부회계, 산업생태계 및 중소기업정책 등 산업정책이다. 『알기 쉬운 재무행정』(2019), 『한국 행정학 60년: 1956-2016』. 『국제행정론』(공저, 2013), 『재정규율과 재정책임의 이론과 실제』(공저, 2011), “지역 SOC 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쟁점과 전망” 『의정연구』(2019), “우리나라 재무행정학의 연구 경향 및 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 행정학보』 50권. 5호(2016) 등을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