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옮긴이의 말>

  나는 절대로 원서 번역은 하지 않기로 작정한 사건이 있다.

  1993년 프랑스에서 막 귀국했을 때 박사학위 논문을 복사본으로 만들어 교수님들께 드리며 귀국 인사하는 것이 유행이었다. 프랑스어로 작성했기 때문에 미국에서 학위를 한 사람들의 영어로 된 논문보다 불리한 상황이었다. 지도 교수이신 조석준 교수님께서 한글로 번역해 출판을 하라고 조언해 주셨고, 유명 출판사가 거부하는 가운데, 고맙게도 금방 창업해 일이 별로 없었던 장원출판사가 출판을 맡아 주기로 했다. 원저자가 본인이고, 한국어가 모국어임에도 불구하고, 번역한 원고를 보면 도대체 원어의 맛이 없어지고, 내용이 별볼일 없이 초라해 보였다. 고작 6년 파리에서 프랑스어을 배우겠다고 이를 악물고 가급적 한국말 안 쓰고 버틴 것이 한국어 능력도 다 잃어버렸다는 것인가. 마침 인하대 김영민 교수님께서 번역 원고를 읽고 깨알같이 고쳐 주셔서 겨우 출판을 했다.* 그 일이 있고 난 이후로, 나는 절대로 번역을 하지 않기로 결심하고 지금까지 실천하고 있다.

  여러 해 전에 제임스 페리(James L. Perry) 교수님이 한국에 와서 진지하게 이 책의 번역을 부탁하면서 큰 고민이 생겼다. 페리 교수님은 내가 인디애나 퍼듀대학(IUPUI)에 연구년으로 머물던 2005년 인디애나대 인디애나폴리스 캠퍼스 부학장이었는데, 내 연구실 맞은 편에 연구실이 있어 자주 보면서 미국의 대학 및 미국 사회를 알게 해 준 인연을 맺게 된 후 특별한 사이가 됐다. 페리 교수님은 그 무렵에 공공봉사동기라는 개념을 처음 만들기 시작했고, 아메리코(AMERICO)라는 단체의 연구 용역을 의뢰받아 공공봉사동기를 처음 측정해 보는 시기였다.

  그 후로 공공봉사동기는 행정학 분야에의 중요한 개념으로 확산되고 전 세계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개념, 그리고 측정 도구가 생기니 엄청난 양의 논문이 쏟아져 나오는 것을 보고 이론 발전의 과정을 가까이 지켜보는 특권을 누렸다. 미국뿐만 아니라 유럽, 한국 등 전 세계 연구자의 관심거리이고, 신행정학 이후 가장 인기 있는 행정학 이론 중의 하나가 됐다.

  이제 20여 년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연구를 총체적으로 정리하고 앞으로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한 시기다. 공공봉사동기이론의 창시자인 페리 교수님이 이 이론적 개념을 가지고, 조직관리의 바이블이라고 할 수 있는 책을 내놓았다는 것이 또 하나의 큰 의미다.

  철학적·이론적 원칙으로부터 시작해 이론적·경험적 측면에서 개별 연구들이 어디까지 왔으며, 어떻게 쟁점이 됐는지를 체계적이고 논리적으로 정리하고 있다. 즉, 공공봉사동기를 인사행정론에서 쓰는 단순히 하나의 개념으로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각국의 문화적 맥락에서 넓고 깊게 볼 수 있게 해 주는 동시에 이를 아우르는 보편적 일반화를 시도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행정학을 하는 사람들에게 모두 일독하기를 권하고 싶은 책이다.

  공공봉사동기가 공사조직적인 맥락에서 어떻게 해석되고 적용될 수 있는지, 인간의 심리적인 측면, 무의식의 세계, 잠재력인 세계까지 포함한 시각에서도 조명하고, 실무자들에게 도움이 될 구체적 추진 전략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공공봉사동기의 긍정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측면까지 설명한 균형 잡힌 서술이 이 책의 특색이다.

  특히 신공공관리론에서는 경제적 인간, 즉 개인 차원에서 보는 이기적 동기를 본다면, 이 책에서는 오히려 조직(집단)적 차원에서 이타적 혹은 친사회적 차원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한국 행정문화에 더 적절한 설명이라는 생각도 든다. 예를 들면 개인 단위의 성과관리보다는 조직 차원의 성과관리가 더 행정의 효과성에 기여한다는 논리도 제시하고 있고, 또한 과거 관료제의 병폐로서 관료제를 비판하기에 그쳤다면 오히려 관료제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강조함으로써 국민들에게 만족스러운 행정의 결과가 나올 수 있다는 측면까지 논의를 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단순히 공공봉사동기 개념을 정리하고 소개하는 책이 아니라 우리 사고의 지평을 넓혀 주는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원래 페리 교수님이 이 책의 번역을 부탁한 것은 몇 년 됐는데, 여러 가지 이유로 지체돼서 송구한 마음이 앞선다. 마침 이진수 교수님과 오윤이 박사님이 꼼꼼히 번역을 해 주신 덕분에 매우 질 높은 번역서가 됐다고 자부한다. 번역 과정에서 어려운 문장들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 행정대학원 임수진 학생에게도 감사한다. 감수자는 영어 번역체를 한국어로 읽기 쉽게 의역하는 정도의 미력을 더했을 뿐이다.

  포르투갈어를 비롯해서 스페인어, 중국어 등 여러 언어로 이 책의 번역서가 나온다는 측면에서 한국어 판이 가지는 의미가 더 크다.

  행정에 관심을 갖게 되는 학부 초년생뿐만 아니고 대학원생, 박사 과정까지 폭넓은 독자층에게 균형되고 흥미로운 연구 경향을 짚어 준다는 측면에서 매우 훌륭한 책이다.

  행정학의 인사행정 측면에서 본 행정학의 재조명이라고 할 수 있겠다. 아무쪼록 널리 읽혀서 한국 행정학의 발전에 큰 기여를 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2024년 11월

옮긴이들을 대표해서

감수자 임도빈

 

<차례>

1장 공직 제도의 새로운 기초

 1.1 전통적인 공직 제도에 대한 지속적인 압력

  1.1.1 공직 제도의 지속 성향

  1.1.2. 지속성에 직면한 동기의 진화

 1.2. 개혁의 기초로서 공공봉사동기 연구

  1.2.1. 증거 기반

  1.2.2. 포괄성

  1.2.3. 일관성

  1.2.4. 이 책의 구성

 1.3. 결론

 

2장 공공봉사동기의 이론적·경험적 기초

 2.1 성향-기회 이론

  2.1.1 매력-선택-이탈 이론

  2.1.2 개인-환경 적합성 이론

  2.1.3 요약

 2.2 자기 결정 이론

  2.2.1 동기 부여 군집 이론

 2.3 목표 이론

  2.3.1 목표 특성의 대리 변수로서의 임무 가치관

 2.4 결론

 

3장 공공봉사동기가 높은 인재의 충원이 우선이다

 3.1 공공봉사동기가 높은 직원 영입하기

  3.1.1 공공봉사동기가 높은 인재를 영입하기 위한 조직 이미지 계획

  3.1.2 조직 이미지의 적극적 활용: 미국 연방 교정국

  3.1.3 임무와 공공 가치를 강조하기는 구인 광고 만들기

  3.1.4 공공봉사동기가 높은 지원자의 선별

  3.1.5 내재적 또는 친사회적 동기를 약화시킬 가능성이 있는 동기를 가진 후보자 선별하기

 3.2 결론

 

4장 공공 업무의 의미 활용하기

 4.1 공공 업무의 중요도: 공공 부문의 경쟁 우위

  4.1.1 공공 업무

  4.1.2 사회적으로 유용한/무용한 일자리

  4.1.3 요약

 4.2 공공 업무의 의미를 활용하는 전략

  4.2.1 공공 부문 직원과 수혜자 간의 직접적 접촉을 장려하는 직무 설계

 4.3 직원을 수혜자와 연결하기 위해 자기 설득 또는 기타 자기 처치 사용하기

 4.4 직무 개편

  4.4.1 의미성을 높이기 위한 직무 개편

  4.4.2 공공 부문의 직무 개편을 위한 몇 가지 고려 사항

 4.5 경력 상담

  4.5.1 경력 상담사와 직원을 위한 도구

  4.5.2 요약

 4.6 결론

 

5장 공공봉사동기를 장려하는 근무 환경 조성하기

 5.1 공공 제도적 장치가 지원적인 근무 환경을 유지하는 방법

  5.1.1 공무원 규칙은 공유재를 위한 환경을 조성한다

  5.1.2 공무원 규칙은 기본적인 심리적 욕구를 촉진할 수 있다

  5.1.3 요약

 5.2 지원적인 근무 환경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

  5.2.1 확실한 학습 및 성장의 기회

  5.2.2 고용 안정성과 성과 간의 균형을 맞추는 기준 개발

  5.2.3 조직과 직원 간의 유대 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공공봉사동기 향상

 5.3 합의의 해체: 가치 체계가 충돌할 때

 5.4 결론

 

6장 보상 체계와 공공봉사동기를 연계하기

 6.1 동기 부여와 효과적인 보상 체계

 6.2 동기 부여와 보상 체계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보상 구조

  6.2.1 보상 구조의 이론적 역할

  6.2.2 기본급

  6.2.3 이동 시스템

  6.2.4 인센티브

  6.2.5 직위 분류

 6.3 결론

 

7장 신입 직원에게 공공봉사 가치를 배울 기회 제공하기

 7.1 직원 사회화의 근거

  7.1.1 사회화와 조직 성과

  7.1.2 사회화와 공공봉사동기 연구

 7.2 직원을 공공봉사에 사회화하기 위한 전략

  7.2.1 조직과 직원의 공공봉사 가치를 일치시키기 위한 온보딩 설계

  7.2.2 공공봉사 가치를 공유하고 강화하기 위한 멘토링 파트너십 구축

 7.3 결론

 

8장 미션, 영감 및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리더십

 8.1 리더가 혁신을 가져오는 방법: 이론적 기초

  8.1.1 비전을 가진 변혁적 리더들

  8.1.2 건축가로서의 변혁적 리더들

  8.1.3 변혁적 리더십과 공공봉사 및 친사회적 동기에 대한 실증 연구

 8.2 공공봉사의 힘을 발휘하기 위한 리더십 전략과 전술

  8.2.1 임무와 비전을 명시할 것

  8.2.2 직원들에게 영감을 주는 리더십 스타일 개발

  8.2.3 영감을 주고 목적-수단 인식을 구축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8.3 결론

 

9장 공공의 열정을 불러일으키는 공직 설계

 9.1 공직 제도 변화를 위한 포트폴리오

 9.2 개혁 과제를 진전시키기 위한 변화 과정

  9.2.1 작은 성공을 활용해 점진적 변화를 추진하기

  9.2.2 포괄적 변화로서의 개혁

  9.2.3 포괄적 변화 탐색: 조지아와 남아프리카

 9.3 공공봉사동기와 공직 제도 개혁의 통합을 위한 연구

  9.3.1 체계적 현장 실험 프로그램

  9.3.2 국가 성과 변화에 대한 거시 연구

  9.3.3 공공봉사동기의 “어두운 면”

 9.4 결론

 

<저, 역자 소개>

[글쓴이] James L. Perry

인디애나대학교 Paul H. O’Neil School of Public and Environmental Affairs의 명예 석좌 교수다. 그는 현재 50개국 이상에서 연구되고 있는 공공봉사동기(PSM)에 관한 이론을 개척했으며, 드와이트 왈도 상(ASPA), H. 조지 프레데릭슨 상(PMRA), 존 가우스 상(APSA), 그리고 라우틀리지 상(IRSPM) 등을 수상한 바 있다.

 

[감수자] 임도빈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이며, 한국행정학회 회장,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원장을 역임했다. 정부경쟁력 이론을 정립하고, 행정이 국가공동체를 위해 어떤 담당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연구에 천착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인간-시간-공간이라는 3간(間) 모델에서 사람이 중심이 돼 더 좋은 한국 사회를 만들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특히 최근 인적 자본이라는 측면에서 공공 부문의 역할에 관심을 갖고 있다. 한국정책학회, 한국행정학회 그리고 서울대학교에서 각각 학술상을 수여받았다. 40여 권의 저서와 주요 국내외 학술지에 200여 편 가량의 논문을 발표했다. 주요 저서로는 국가와 좋은 행정, 행정학, 인사행정론, 한국행정조직론, 비교행정학, The Two Sides of Korean Administrative Culture(2019), The Experience of Democracy and Bureaucracy in South Korea(2017) 등이 있다.

 

[옮긴이]

이진수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이며, 기획처 협력부처장을 맡고 있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법학사), 행정대학원(행정학 석사), 대학원(법학 박사)을 졸업했다. 행정안전부 행정사무관, 영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부원장),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학생부원장, 한국공법학회 총무이사와 연구이사, 한국행정학회 총무위원장, 변호사시험, 사법시험, 5급공채시험 등 출제위원을 역임했다.


오윤이
성남시정연구원 연구위원이며, 서울대학교 법과대학(법학사), 행정대학원(행정학 석사, 정책학 박사)을 졸업했다.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BK사업단 박사후연구원과 수원대학교 법행정학부객원교수를 역임했다. 형사사법정책과 조직학, 지방행정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으며, 대검찰청과 법무부 범죄예방정책국 조직진단을 수행했다. 법무부 자체평가위원회 위원을 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