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사>
오늘날 공공 부문이 직면한 도전은 갈수록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불확실한 세계 경제환경, 기후 변화, 그리고 사회 갈등이 심화하는 가운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요구되는 공공리더십의 중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습니다. 특히,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모색하는 공공리더십은 국가와 사회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 책 『경세제민의 공공리더십: 전직 장관 4인으로 본 공직리더의 길』은 한국행정연구원이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해 선보이는 중요한 연구 성과물입니다. 공공리더십의 본질을 탐구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발휘하기 위한 모델과 진단지를 개발하며, 현장 사례를 통해 공공리더십의 다양한 면모를 조명한 이 책은, 이론과 실천의 접점에서 공공리더십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자 하는 진지한 시도라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 책에서 제시된 ROLE 모델은 공공리더십의 역량을 ‘윤리성과 신뢰(Raise)’, ‘공익 추구와 변화관리(Outstanding)’, ‘갈등 조정 및 방향 제시(Lamp)’, ‘소통과 전문성(Echo)’이라는 네 가지 핵심축으로 체계화하고, 이를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진단지로 발전시킨 점에서 큰 의의가 있습니다. 이러한 모델은 공공 조직뿐 아니라 민간 부문에서도 리더십 역량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책에서는 각 분야에서 중요한 공공리더십을 실천해 온 김명자, 박재완, 이주영, 강경화 전 장관님의 사례를 통해 공공리더십 이론을 구체화하고 있습니다. 네 분의 리더십 여정은 단순한 과거의 성공 사례를 넘어, 오늘날의 복잡한 환경 속에서 리더십이 어떻게 발휘돼야 하는지에 대한 귀중한 교훈과 통찰을 제공합니다. 특히, 바쁘신 와중에도 심층 인터뷰와 자가진단을 통해 소중한 경험과 데이터를 나눠 주심으로써 이 책의 완성도를 크게 높여 주셨습니다. 이에 깊이 감사드리며, 네 분의 통찰이 독자들에게 실질적인 영감과 방향성을 제시하길 기대합니다.
이 책이 출간되기까지 수많은 연구진과 저자들의 헌신적인 노력이 있었습니다. 체계적 문헌 분석, 심층 인터뷰, 그리고 포토보이스와 델파이 기법 등을 활용한 연구 과정은 공공리더십 연구의 학문적 깊이를 더하고, 실천적 유용성을 높이는 데 크게 이바지했습니다. 이에, 한국행정연구원 연구진은 물론 실제 인터뷰를 진행하며 공공리더십의 실천성을 정립하는 데 도움 주신 엄석진(서울대), 양재완(한국외국어대), 최우재(청주대), 김현준(고려대) 교수님 등 참여 연구진 여러분께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끝으로, 이 책이 공공리더십의 함양을 위해 노력하는 모든 독자에게 큰 영감이 되기를 바랍니다. 공공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삼는 리더십, 이를 통해 신뢰와 협력을 만들어가는 리더십이 우리의 조직과 사회에 더 널리 확산되기를 기대합니다. 또한 이 책이 학계, 공공 부문, 그리고 시민 사회를 연결하는 중요한 가교가 되기를 소망합니다.
2024년 12월
한국행정연구원 원장 권혁주
<차례>
우리 시대의 공공리더십을 생각한다ㆍ은재호
김명자 전 장관ㆍ인터뷰어 엄석진 교수
박재완 전 장관ㆍ인터뷰어 양재완 교수
이주영 전 장관ㆍ인터뷰어 최우재 교수
강경화 전 장관ㆍ인터뷰어 김현준 교수
부록 KIPA 공공리더십 역량 진단지
<저자 소개>
[연구 책임]
은재호
한국행정연구원 선임연구위원
프랑스 고등사범학교(ENS-Paris Saclay) 정치학 박사(정책학 전공)
주요 연구 분야: 공공리더십, 갈등관리와 거버넌스, 정책변동, 정부개혁
[연구 참여]
최병윤
한국행정연구원 부연구위원
고려대학교 행정학 박사(행정학 전공)
주요 연구 분야: 공공리더십, 행정 혁신, 인사조직
엄석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
서울대학교 행정학 박사
주요 연구 분야: 공공리더십과 거버넌스, 정부의 디지털 혁신,
한국행정의 역사적 분석, 행정이론
양재완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국제교류처장
미국 버지니아 공대(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 경영학 박사(매니지먼트 전공)
주요 연구 분야: 리더십,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HR digital transformation(Artificial
Intelligence, Workforce/HR Analytics), 한국의 사회변화와 인적자원관리 쟁점
최우재
청주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Ohio State University) 박사(인적자원개발[HRD] 전공)
주요 연구 분야: 리더십, 인적자원개발시스템 및 성과, 긍정심리자본, 지속가능성
김현준
고려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미국 Syracuse University 행정학 박사
주요 연구 분야: 협업적 공공관리, 공공서비스 디자인, 성과관리, 전자정부
[연구 지원]
나지석
한국행정연구원 행정원
송현호
한국행정연구원 연구보조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