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집필 배경과 목적

  행정학이 ‘무엇을 연구하고 학습하는 학문이냐?’라는 질문에 다양한 의견이 나올 수 있다. 저자는 이 질문에 행정학은 ‘나라(국가) 살림살이’를 탐구하고 공부하는 학문이라고 답하고 싶다. 한 국가의 살림살이가 제대로 유지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요건 및 구성은 광범위한 범주에서 논의될 수 있겠다. 그중에서도 인력, 조직, 제도, 그리고 예산 등은 국가를 운영하기 위한 필수불가결한 요소다. 정리하자면, 행정학은 국가 운영을 위해 필요한 인력, 조직, 제도, 그리고 예산 등을 연구하고 탐구하는 학문이다.

  국가(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 행정과 운영을 위해 종사하는 인력, 즉 공무원의 인사와 연관된 내용을 가르치고 학습하는 교과목이 바로 행정학에서의 ‘인사행정론’이다. 공무원 인사의 범주에는 공무원 채용, 배치전환, 경력 개발, 교육훈련, 성과관리, 보수, 공직윤리, 공무원연금, 퇴직관리 등에 이르기까지 공무원 생애주기의 전 과정에 해당되는 영역이 포함된다. 인사행정은 행정학의 주요 학문 영역 중 하나이기에, 대부분 대학의 행정학과에서 인사행정론 교과목을 채택해 가르치고 있으며, 행정학과 소속 학생뿐만 아니라 공직과 공무원에 관심이 있는 타 전공 학생들이 인사행정 교과목을 활발하게 수강하고 있는 현실이다.

  인사행정론 교과서는 이미 여러 출판사에서 다양하게 출간돼 있다. 저자는 이 책의 집필을 위한 준비 단계에서 국내에 출간된 인사행정론 교재들의 구성과 내용에 대해 점검했다. 대부분의 인사행정론 교재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은 인사행정의 개념과 의의, 공직의 체계, 공무원의 분류, 인사행정기관, 채용제도 및 유형, 임용제도, 교육훈련, 경력 개발, 성과평가 및 관리, 보수관리, 공직윤리 및 징계, 공무원 행동규범, 공무원 연금, 퇴직관리 등이다. 상당히 많은 인사행정론 교재가 거의 대동소이한 내용을 소재로 유사한 방식의 구성을 지니고 있다고 판단된다.

  저자는 이 책을 집필하면서 분명한 목적을 설정하고, 기존 출간된 도서들과 차이 있는 구성과 체계를 도출하고자 나름의 고민과 연구를 했다. 첫째, 이 책은 공무원이 되고자 하는 학생들 그리고 정부조직과 공무원에 대한 관심이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공무원이 실제로 적용받게 되는 주요 제도와 규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둘째, 이 책은 인사행정론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 개념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설명에서 그치지 않고, 이론적 개념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여러 현황, 통계, 그리고 이슈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셋째, 이 책은 인사행정론의 주요 이슈와 개념을 대상으로 연구해 학술지에 게재된 국내 논문들을 발췌하고 정리해 소개하고자 한다.

 

구성과 내용

  이 책의 집필 의도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저자는 다음의 구성 체계와 내용을 바탕으로 이 책을 집필했다.

  이 책은 총 13장으로 구성된다.

  - 제1장 공무원 임용과 분류

  - 제2장 공무원 채용(외부 임용)

  - 제3장 공무원 내부 임용

  - 제4장 공무원 복무제도

  - 제5장 공직윤리와 행동규범

  - 제6장 공무원 징계제도

  - 제7장 공무원 인재개발제도(교육훈련)

  - 제8장 공무원 성과평가제도

  - 제9장 공무원 보수제도

  - 제10장 공무원 연금제도

  - 제11장 공무원 보직관리제도

  - 제12장 적극행정제도

  - 제13장 공무원 퇴직관리제도

  각 장은 동일한 4개의 절로 구성했다. 각 장별 모든 대주제를 설명하는 데 적용 가능하며, 동시에 일관성 있는 4개의 절을 구성하기 위한 저자의 많은 고심이 있었다. 제1절은 각 장의 주제에 관한 주요 개념, 정의, 그리고 이론 등을 제시하고 있다. 제2절은 각 장의 주요 개념과 내용과 관련해 연구가 이뤄져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선별해서, 각 논문별 요약된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제3절은 각 장의 핵심 이슈 및 내용과 관련해서 공무원에게 실제로 적용되고 영향을 미치는 주요 제도 및 규정을 정리했다. 마지막으로 제4절은 각 장별 주요 내용에 대한 현황, 통계, 그리고 뉴스 기사 등을 발췌해 제시하고 있다.

 

감사 인사

  이 책의 집필을 마무리하며 감사의 마음을 글로 전하고자 한다.

  먼저, 저자의 가족에게 깊고 무한한 감사와 고마움을 전하고 싶다. 지금까지 행복하고 기뻤던 순간, 그리고 힘들고 어려웠던 순간 모두 저자와 함께하며 동고동락한 아내에게 깊은 감사의 말과 마음을 전하고 싶다. 또한, 세상 누구와도 바꿀 수 없는 우리 부부의 소중한 두 아들인 승준과 유준에게도 우리 부부의 자식으로 태어나서 행복한 시간을 같이 보내고 있는 것에 고맙다는 말을 전한다.

  그리고, 이 책의 각 장마다 수록돼 있는 학술지 게재 논문의 정리를 적극적으로 맡아서 지원해 준 계명대학교 행정학과 윤주영 박사과정생에게 감사를 표현하고 싶다. 마지막으로, 수년 전부터 저자와 인사행정론 집필에 대해 논의하고, 실제로 출간을 허락해 준 도서출판 윤성사 정재훈 대표님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2025년 4월

사용진

 

<차례>

제1장 공무원 임용과 분류

제1절 개념 및 정의 

제2절 연구 동향 및 탐색 

제3절 제도 및 규정 

제4절 현황 및 실태 

 

제2장 공무원 채용(외부 임용)

제1절 개념 및 정의 

제2절 연구 동향 및 탐색 

제3절 제도 및 규정 

제4절 현황 및 실태 

 

제3장 공무원 내부 임용

제1절 개념 및 정의 

제2절 연구 동향 및 탐색 

제3절 제도 및 규정 

제4절 현황 및 실태 

 

제4장 공무원 복무제도

제1절 개념 및 정의 

제2절 연구 동향 및 탐색 

제3절 제도 및 규정 

제4절 현황 및 실태 

 

제5장 공직윤리와 행동규범

제1절 개념 및 정의 

제2절 연구 동향 및 탐색 

제3절 제도 및 규정 

제4절 현황 및 실태 

 

제6장 공무원 징계제도

제1절 개념 및 정의 

제2절 연구 동향 및 탐색 

제3절 제도 및 규정 

제4절 현황 및 실태 

 

제7장 공무원 인재개발제도(교육훈련)

제1절 개념 및 정의 

제2절 연구 동향 및 탐색 

제3절 제도 및 규정 

제4절 현황 및 실태 

 

제8장 공무원 성과평가제도

제1절 개념 및 정의 

제2절 연구 동향 및 탐색 

제3절 제도 및 규정 

제4절 현황 및 실태 

 

제9장 공무원 보수제도

제1절 개념 및 정의 

제2절 연구 동향 및 탐색 

제3절 제도 및 규정 

제4절 현황 및 실태 

 

제10장 공무원연금제도

제1절 개념 및 정의 

제2절 연구 동향 및 탐색 

제3절 제도 및 규정 

제4절 현황 및 실태 

 

제11장 공무원 보직관리제도

제1절 개념 및 정의 

제2절 연구 동향 및 탐색 

제3절 제도 및 규정 

제4절 현황 및 실태 

 

제12장 적극행정제도

제1절 개념 및 정의 

제2절 연구 동향 및 탐색 

제3절 제도 및 규정 

제4절 현황 및 실태 

 

제13장 공무원 퇴직관리제도

제1절 개념 및 정의 

제2절 연구 동향 및 탐색 

제3절 제도 및 규정 

제4절 현황 및 실태 

 

<저자 소개>

사용진(史容鎭)

· 계명대학교 행정학과 부교수(2018.03~현재)

· 행정학 박사(University of Baltimore, 2015)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수석연구원(2016.08~2018.02)

· 행정고시(5급 공채), 국가직·지방직 7급, 9급 공무원 시험 출제 및 면접위원

· 행정안전부 민원서비스평가위원(2021~현재)

· 여성가족부 지자체 청소년정책 평가위원(2020~2024)

· 보건복지부 민간보조사업 평가위원(2019~2021)

· 대구광역시 계약심의위 위원(2020~2024)

· 대구광역시 본부세관 보통징계위 위원(2022~현재)

· 대구광역시 본부세관 보통고충심사위 위원(2022~현재)

· 대구지방국세청 고충심사위 위원(2018~2022)

· 대구 달서구 의회 인사위원(2022~현재)

· 대구 달서구 민간합동조직진단반 위원(2023~현재)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일반직 인사위원(2022~현재)

· 세종특별자치시 민간위탁사무운영위 위원(2024~현재)

· 한국가스공사 정보공개심의위 위원(2019~2023)

· Edelweiss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편집위원(2025.01~현재)

· International Journal of Business and Management 편집위원(2018.09~현재)

· Asian Social Science 편집위원(2018.09~현재)

·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편집위원(2018.09~현재)

· 한국인사행정학회 편집이사, 편집위원(2019~현재)

· 한국정부학회 학술연구위원장(2024)

· 주요 연구 분야: 인사행정, 조직행태 및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