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지역소멸의 위기 속에서 K-도시의 미래를 그리며

한국 사회는 지금, 전례 없는 인구 구조의 변화와 수도권으로의 집중, 지방의 고령화라는 삼중고에 직면해 있다. 이로 인한 지역소멸은 단지 몇몇 농산어촌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 전체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는 구조적 위기다. 이 책은 바로 이 절박한 물음에서 출발했다. “도시와 지역은 다시 살아날 수 있는가?” 우리는 이 물음에 답하고자, 도시의 본질과 진화를 깊이 있게 탐색하고, 지역기반의 혁신 전략을 구체적으로 모색해 보고자 했다.

  책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는 도시와 지역이 직면한 도전과 그 이론적 맥락을 정리하고, 미래 도시의 방향으로 친환경 도시와 AI 도시를 제안한다. 이어지는 제2부는 포항이라는 구체적인 도시를 중심으로 도시 전환의 전략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며, 제3부에서는 각 지역에 뿌리내린 공공기관들의 사례를 통해 지역과 함께 호흡하며 상생을 실천하는 도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처럼 이 책은 도시 변화의 이론과 실제, 그리고 공공의 역할이라는 세 축을 통해 K-도시의 미래를 입체적으로 조망하고자 했다.

  제1부에서는 먼저 인구 구조의 변화, 도시 공간의 재편, 산업 쇠퇴와 사회적 자본의 약화를 중심으로 도시가 맞이한 복합적 위기를 조망한다. 동심원이론, 도시축소이론, 사회적 자본론 등 다양한 이론적 프레임을 통해 오늘날 도시를 해석하고, 미래의 방향으로 ‘친환경 도시’와 ‘AI 도시’라는 두 모델을 제시하였다. 도시는 더 이상 물리적 공간의 단순한 재배치로 설명될수 없으며, 삶의 방식과 공동체, 기술과 윤리가 교차하는 복합적 생태계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특히 도시의 지속가능성은 단순한 자원 관리가 아닌 인간 중심의 전환적 상상력에서 비롯되어야 한다.

  제2부는 포항을 중심으로 한 사례 분석이다. 포항은 철강산업으로 급성장한 산업도시이지만, 현재는 인구 감소와 산업 쇠퇴, 도심 공동화라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 책은 포항의 어제와 오늘을 돌아보며, 피츠버그와 디트로이트 등 해외 도시의 전환 사례에서 얻은 통찰을 바탕으로, 포항의 미래를 설계하기 위한 전략적 방향을 제시한다. 창조도시로의 전환, 과학 기술 기반 신산업 육성, 정체된 지역의 재구조화는 포항이라는 도시가 ‘철의 도시’에서 ‘미래의 도시’로 재도약하기 위한 핵심 축이다. 특히 지곡지구는 물리적 재개발을 넘어 도시정책의 새로운 실험장으로서, 공간 혁신과 공동체 회복, 인재 정착의 거점으로 주목된다.

  제3부는 대한민국 곳곳에 위치한 공공기관들의 상생 모델을 소개한다. 각 지역에 자리 잡은 공공기관은 단순한 지방 이전을 넘어 지역공동체와의 상생을 실현한 대표적 사례들이다. 각 기관은 고유의 역할을 기반으로 청년 일자리 창출, 지역 기반 사회공헌, 에너지 전환, 안전 교육, 주민 참여형 거버넌스 등 다각도의 전략을 펼쳐 지역소멸 극복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 있다. 공공기관이 지역의 미래를 설계하는 주체로 작동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이들 사례는, 공공성과 지속가능성, 지역성과 혁신성을 통합하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다.

  이 책은 단지 문제를 지적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도시의 생명력을 회복하고, 지역이 다시 숨쉬도록 하기 위한 구체적 해법과 실천 전략을 모색한다. 이 과정에서 여러 연구자와 실무자들이 헌신적으로 참여해 주셨고, 각자의 현장에서 체득한 지식과 고민, 희망을 하나로 모아주셨다. 이 자리를 빌려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특히 새벽 6시 반에도 카카오톡으로 응원의 메시지를 전해주신 도서출판 윤성사 정재훈 대표님의 열정에 깊이 감사드린다.

  이 책에는 여전히 채워야 할 빈틈이 있고, 더 깊이 다루어야 할 주제들도 남아 있다. 이는 전적으로 대표 저자의 부족함이며, 동시에 앞으로 더 정진해야 할 이유이기도 하다. 참여해 주신 모든 분들의 뛰어난 기여에 비해 대표 저자가 충분히 살려내지 못한 부분이 있다면, 그 또한 대표 저자의 책임이다.

  부디 이 책이, 지역소멸이라는 시대적 위기를 함께 넘어서는 데 작은 디딤돌이 되기를, 그리고 대한민국 도시의 미래를 함께 그려나가는 데 한 줄기 실마리가 되기를 간절히 바란다.

2025년 7월

저자들을 대표하여

노승용

 

<차례>

제1부 지속가능 도시

제1장 도시 인구구조와 공간변화이론

제1절 도시를 이해하는 이론적 지도

제2절 인구구조변화이론

제3절 도시축소이론

제4절 도시공간구조이론

제5절 도시경제성장이론

제6절 사회적 자본

 

제2장 도시의 위기, 지역소멸

제1절 지역소멸이론

제2절 우리나라의 지방소멸

제3절 해외사례

 

제3장 도시의 미래, 친환경 도시

제1절 미래 도시로의 전환과 친환경 도시의 필요성

제2절 친환경 도시의 개념과 유형

제3절 친환경 도시의 원칙과 설계 전략

제4절 세계 친환경 도시의 주요 유형별 사례 분석

제5절 친환경 도시 구현을 위한 정책, 기술, 인프라

제6절 미래 도시와 친환경 도시의 전망

제7절 한국형 친환경 도시 전략과 향후 과제

 

제4장 도시의 진화, AI시티

제1절 AI시티 개념 및 등장배경

제2절 AI시티 주요 기능

제3절 AI시티 기대효과

제4절 AI시티 적용사례

제5절 AI시티 미래와 과제

 

제5장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한 주택

제1절 지속가능한 도시와 주택

제2절 도시의 지속가능성 측면에서의 주택문제

제3절 지속가능한 도시와 주택정책의 현황

제4절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한 주택정책의 미래

 

제2부 지속가능 도시, 포항 사례

제6장 포항의 어제와 오늘, 성찰과 전망

제1절 포항시장의 정책 어젠다 변화 

제2절 시정백서 ‘시정운영방향’으로 본 정책 어젠다 변화

제3절 주요 정책 사례

제4절 주요 지표로 살펴본 10년의 성과 및 향후 과제 

 

제7장 미국 도시 사례로 본 포항의 발전 전략: 피츠버그 모델과 디트로이트 모델

제1절 서론

제2절 포항의 실태 분석

제3절 미국의 사례 분석

제4절 두 도시의 정책 비교 및 시사점

제5절 정책적 제언

 

제8장 창조적 도시, 포항의 전략

제1절 서론: 왜 지금 ‘창조적 도시 포항’인가?

제2절 창조도시이론의 진화와 포항의 가능성

제3절 철강도시의 문화화: 포스코를 넘어 스틸 라이프스타일로

제4절 과학도시의 감성화: 연구하는 도시에서 사는 도시로

제5절 다섯 개의 포항: 분절된 정체성과 창조적 연결

제6절 크리에이터 타운 전략: 포항형 창조도시의 구현 방식

제7절 노마드 시티로 가는 길: 메가시티 시대의 새로운 도시 모델

제8절 창조도시 포항을 위한 실행 전략: 건축디자인과 로컬 메이커스페이스

제9절 결론: 포항은 창조도시가 될 수 있는가?

 

제9장 포항의 신성장 전략

제1절 포항의 현황

제2절 포항의 강점 

제3절 포항의 취약점

제4절 포항의 신성장 전략 및 경쟁력 강화 방안

제5절 결론 및 제언

 

제10장 지곡지구! 포항 미래전략의 시작, 정체된 땅에서 미래를 짓는 도시 재설계

제1절 왜 지곡지구인가? 

제2절 지곡지구 개발의 전략

제3절 지곡지구, 삶의 품격을 드러내는 공간

제4절 지곡지구 재개발 기대효과

제5절 미래 주거 패러다임으로서의 지곡지구

제6절 새로운 개발 질서와 통합 마스터플랜: 버티컬 가든시티의 방향성과 행정의 역할

 

제3부 지속가능 도시와 공공기관

제11장 폐광의 아픔을 간직한 정선, 강원랜드! 글로벌 관광도시로 꽃피우다

제1절 폐광지역의 특성

제2절 강원랜드의 설립 및 성과

제3절 강원랜드 향후 운영방향 및 제언

 

제12장 사람과 기업을 부르는 힘, 지역 인프라 혁신: 한국교통안전공단

제1절 고령사회와 산업기반 약화에 따른 지역소멸 위기

제2절 한국교통안전공단의 지역발전 전략

제3절 자동차·모빌리티 인프라 건립 주요 사례 및 성과

제4절 지역 일자리 창출과 사회공헌활동

제5절 맺음말

 

제13장 경주시 중저준위 방폐장 유치지역 발전성과 사례

제1절 중저준위 방폐장 유치지역 지원사업 현황

제2절 경제적 영향

제3절 사회적 영향

제4절 종합 평가 및 시사점

 

제14장 한국남동발전(주), 상생의 에너지로 지역소멸 위기를 기회로

제1절 서론

제2절 한국남동발전(주) 개요 및 사회공헌 추진체계

제3절 한국남동발전(주) 사회공헌 사업현황

제4절 지자체·지역주민·대국민과의 소통 강화

제5절 사회공헌 성과 점검·환류

제6절 지역발전 성과 및 향후계획

 

제15장 전통과 역사가 숨 쉬는 전북의 미래를 여는 국민연금공단의 지속가능한 동행

제1절 전북특별자치도의 숙원사업과 위기 현황

제2절 국민연금공단의 전북 국제금융허브 발전 지원 사례

제3절 국민연금공단 사회공헌 특화브랜드 ‘마을자치연금’ 추진 사례

제4절 지역발전 성과 및 향후 계획

 

제16장 영산강이 흐르는 천년도시, 나주를 지키는 한전KPS

제1절 나주시의 지역발전 현안

제2절 지역발전을 위한 한전KPS의 노력과 성과

제3절 한전KPS의 지역발전 성과

 

제17장 젊은 혁신도시 충북 진천·음성과 한국가스안전공사의 상생발전

제1절 대한민국 중심 충북, 충북의 중심 진천·음성의 지역 현안

제2절 한국가스안전공사와 손잡고 친환경 수소 도시로의 도약

제3절 에너지 산업 중심 지역 우수 인재 육성 및 적극 채용

제4절 여러 계층을 아우르는 감동이 있는 사회적 약자 복지 실현

제5절 지역 맞춤형 경제 활성화로 지역 결속력과 경쟁력 강화

제6절 지역주민 삶의 질을 향상하는 고품격 문화 콘텐츠 제공

제7절 공사와 지역이 함께하는 지역발전과 향후 과제

 

제18장 사람과 지역이 함께 자라는 길, 태안과 한국서부발전(주)의 상생 이야기

제1절 태안군 지역소멸 위기 현황

제2절 한국서부발전(주)의 사회공헌 전략 개요

제3절 한국서부발전(주)의 사회공헌 추진 사례 및 성과

 

<저자 소개>

노승용

서울여자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행정학 박사,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Newark

2025년 한국정책학회 부회장

2025년 행정안전부 지방공기업 경영평가단 단장

2015년 Visiting Scholar, University of Exeter

 

경국현

성균관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겸임교수 겸 ㈜탑스리얼티 대표이사

한성대학교 부동산대학원 박사졸업

前 한국상가권리금연구소 소장

前 매경부동산자산관리사 시험출제위원

 

고영석

한국교통안전공단 기획조정실 ESG경영처 과장

학사, 상명대학교 금융경영학

 

김수현

한국원자력환경공단 대외협력팀 차장

학사, 서강대학교 경제학

한국원자력환경공단 재무팀(회계/계약/보수)

한국원자력환경공단 감사실(공직기강/윤리경영/자체감사)

 

김시은

한국남동발전(주) 동반상생처 상생협력부 차장

법학사, 중앙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한국남동발전(주) 동반성장처 일자리창출부

한국남동발전(주) 삼천포발전본부

 

김응수

국민연금공단 경영지원실 ESG경영부장

경영학사, 부산대학교

2023년 국민연금공단 동울산지사장

2022년 국민연금공단 가입지원실 자격관리부장

2021년 국민연금공단 기획조정실 경영혁신 차장

 

김중연

(주)강원랜드 성과혁신팀 과장

경영학 석사, 서강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2023년 ISO 37001•37301 강원랜드 내부심사원

 

남윤우

미국 네브라스카 대학 도시 및 지역계획학과 교수

도시 및 지역계획학 박사,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25년 네브라스카 주지사 직속 정책위원회 이사

2025년 미국 도시 및 지역계획학회 (ACSP) 국제교육 위원회

 

박정원

한국가스안전공사 성과평가부장

학사, 연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박형준

성균관대학과 행정학과. 국정전문대학원 교수

행정학 박사, Florida State University

2025년 한국정책학회 회장

2025년 지방시대위원회 위원

2025년 인문사회융합인재양성단(인구구조컨소시엄) 주관대학 사업단장

 

오승은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행정학 박사,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2025년 한국지방자치학회 상임이사

2024년 한국국정관리학회 회장

2023년 한국정책학회 연구부회장

 

이성윤

서울여자대학교 행정학과 조교수

행정학 박사, State University of New York(SUNY) at Albany

2025년도 한국행정학회 편집위원회 편집위원

2025년도 한국국정관리학회 빅데이터 행정위원회 위원장

2024년도 국토교통부 기타공공기관 경영평가 위원

 

이양희

한국서부발전(주) 상생협력처 사회공헌부장

석사, 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원

한국서부발전(주) 평택발전본부 총무부장, 노무상생부장

 

이재철

한전KPS 경영혁신처장

경영학 석사,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한전KPS 기획처 전략기획실장

한전KPS 인재개발원 교육기획실장

한전KPS 인사노무처 인사실장

 

이종섭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경영학 박사, Stern School of Business, New York University

University of Florida, Warrington 경영대학 교수

서울대학교 AI 연구원 겸무교수

기획재정부 재정정책 자문위원

 

이지영

박사후 연구원(Postdoctoral Researcher), University of Nebraska-Lincoln,

Nebraska

지리학 박사, Louisiana State University, Louisiana

2017년 국가공간정보 개방 민간 자문위원단 위원

 

전희정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도시 및 지역계획학 박사, Ohio State University

2025년 한국지역학회 학술위원장

2014~2015년 미국 Eastern Michigan University 지리학과 조교수

2010~2014년 미국 University of West Georgia 정치 및 계획학과 조교수

 

최익순

지리학 박사후보생, University of Nebraska-Lincoln, Nebraska

PhD Candidate, University of Nebraska-Lincoln, Nebraska

경영학 석사(MBA), Bellevue University, Nebraska

1991-2020, 육군

 

황은진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조교수

행정학 박사, University of Gerogia

제주도청 정보공개심의위원

한국행정연구원 초청연구위원

서울대학교 국가경쟁력센터 전임연구원